국립암센터, 국내 자궁경부암 2034년 조기 퇴치 가능성 제시

국내 연구진이 수리모델링(dynamic modeling)을 통해 자궁경부암 조기 퇴치 전략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며, 백신·검진 정책 강화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최귀선 교수(사진제공: 국립암센터).

국립암센터는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최귀선 교수 연구팀이 자궁경부암 선별검사와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백신 접종 전략을 분석한 결과, 고위험 HPV 검사 도입과 백신 접종률 90% 달성 시 자궁경부암을 오는 2034년까지 조기 퇴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현재 정책을 유지하면 퇴치 시점은 2044년으로 전망됐다.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60만명에게 발생하고 약 34만명이 사망하는 대표적 여성암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020년 11월 세계보건총회(World Health Assembly, WHA)에서 회원국 전원 합의로 ‘자궁경부암 퇴치’를 공식 채택하고, 오는 2030년까지 ▲15세 이전 HPV 백신 접종률 90% ▲35세·45세 자궁경부암 검진율 70% ▲환자 치료 접근성 보장률 90%라는‘90-70-90’ 목표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여성 약 2,600만명을 대상으로 오는 2100년까지의 HPV 감염과 자궁경부암 발생 과정을 반영한 수리모델링을 수행했다. ▲검진 시작 연령(20세·25세) ▲검진 간격(2·3·5년) ▲검사 종류(자궁경부세포검사·고위험 HPV 검사) 등 총 36가지 전략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현행 HPV 백신 접종률 75%와 국가암검진 수검률 51.5%(20세 이상 여성 대상 2년 주기 자궁경부세포검사)를 유지할 경우, 오는 2044년에 WHO 퇴치 기준(여성 10만명 당 4명 이하)을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WHO가 제시한 90%의 HPV 백신 접종률과 70% 수검률 목표를 달성하면 퇴치 시점을 2040년까지 앞당길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어 선별검사 방법을 고위험 HPV 검사로 전환하고, WHO가 제시한 HPV 백신 접종률 90%와 70% 수검률 목표를 달성할 경우 퇴치 시점을 최대 10년 이상 앞당긴 2034년으로 예상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최 교수는 “HPV 백신 효과는 수십 년 후에 나타나지만, 검진은 즉각적으로 암 발생을 줄인다”며 “국가가 주도하는 국가암검진 정책이 자궁경부암 퇴치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양한광 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민국이 자궁경부암 퇴치 선도국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며 “국립암센터는 우리나라의 우수한 암 관리 경험과 전략을 다른 국가에도 공유하고 확산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8월 12일에 ‘Cervical Cancer Screening, HPV Vaccination, and Cervical Cancer Elimination’이란 제목으로 의학 학술지 ‘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