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종은 이제 전공의 없이 운영 가능한 수준"
"현장 변화 결국 후배들 '투쟁' 있었기에 가능"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 등으로 병원 현장은 '전공의가 없는' 일상이 자리잡고 있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 등으로 병원 현장은 '전공의가 없는' 일상이 자리잡고 있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상급종합병원이 전공의 없는 병원에 적응하고 있다. 그간 전공의가 부담하던 업무는 분산됐고 '필수의료' 현장 요구도 정책에 반영되고 있다. 전공의가 떠난 자리를 지키던 교수는 이같은 변화에 "차마 후배들의 복귀를 강요할 수 없었다"고 했다.

서울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곽재건 교수는 지난 18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임상의료정책연구회가 개최한 '의료 시스템 수행 지표 팩트 검토' 심포지엄에서 "상급종합병원은 이제 전공의가 없어도 어느 정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바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곽 교수는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 등 여러 정책으로 간호사가 담당하는 업무가 늘어나고 있다. (의사가 모두 부담하면서) 힘들었던 일은 점점 줄어들 듯하다"면서 "특히 그간 전공의가 맡던 업무 상당수가 분산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곽 교수는 이렇게 "전공의가 없어도 돌아가는 병원"으로 가는 흐름이 "한편으로 무섭게 느껴지기도 한다"고 했다. 여기에 전공의 업무의 간호사 이관 외에도 의료 현장은 "지난 1년 많은 것이 바뀌었다"고 했다.

곽 교수는 "생각 없이 정책을 밀어붙이던 대통령은 (탄핵 심판을 앞둬) 직무정지 상태다. 사태 초기 의사를 무조건 비난하던 국민 중 반 수는 의사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면서 "의사들이 말하는 문제점에 공감하는 이들이 늘었다"고 했다.

정부도 의료 현장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하고 있다고 했다.

곽 교수는 "소아흉부외과는 수년 전부터 중증·희귀질환자 관련 수가 인상을 요구해 왔다. 그리고 지난 몇 달간 복지부 논의를 거쳐 실제 인상이 이뤄졌다"며 "최소한 '내가 열심히 일하는데 (돌아오는 게) 이 정도밖에 안 되나'라는 생각은 들지 않게끔 개선됐다"고 했다.

곽재건 교수는 의대생·전공의 투쟁이 많은 변화를 불러왔다고 했다(사진 출처: 서울의대-서울대병원 임상의료정책연구회 공식 유튜브 생중계 화면 갈무리).
곽재건 교수는 의대생·전공의 투쟁이 많은 변화를 불러왔다고 했다(사진 출처: 서울의대-서울대병원 임상의료정책연구회 공식 유튜브 생중계 화면 갈무리).

물론 이같은 변화도 의대생과 전공의 '투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인정했다. 그래서 "무조건 돌아오라고 말할 수가 없다"고 했다.

곽 교수는 "의대생과 전공의가 대학과 병원 밖으로 나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었더라도 정부가 현장 요구를 빨리 받아들였을지는 모르겠다"며 "의대생과 전공의가 (복귀 압박에도) 버텨줬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다만 복귀 여부는 온전히 개인 선택이어야 한다고 했다. 어떤 선택을 하든 "서로를 겁박하지는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또한 "투쟁을 선택한 사람도 복직하는 사람도 항상 환자의 생명이 지닌 무게를 생각하길 바란다"고 했다.

특히 "(투쟁을 이어가고자) 복귀하지 않기로 한 후배들은 지금 그 선택이 환자 생명을 담보로 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 달라"면서 "개선된 미래 의료 시스템을 누릴 환자의 생명과 비교하더라도 (지금 담보로 하는 환자) 생명의 무게는 절대 가볍지 않다. 이 사실을 뼛속 깊이 새기고 투쟁을 이어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