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의대 수시 전형 최초·추가 합격자 73.1%가 등록 포기
비수도권 등록 포기 경향 두드러져…"수시 미선발 인원 늘 것"
미선발 모집 제한 주장에 교육부 "법적 책임 있어…그대로 진행"
의대 정원 증원으로 중복 합격자가 늘면서 9개 의대 2025학년도 입시 수시 전형 최초·추가 합격자 10명 중 7명이 등록을 포기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비수도권 의대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종로학원은 9개 의대 수시 추가 합격자 발표 자료(12월 23일 기준)를 분석한 결과, 전체 모집 인원 546명 중 73.1%인 399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전년도 동일 시점(58.8%)보다 14.3%p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 수도권 5개 의대 등록 포기율은 한양대(115.5%)·고려대(89.6%)·연세대(58.7%)·가톨릭대(48.2%)·이화여대(22.2%) 순이다. 전체 등록 포기율은 전년도(71.0%)보다 3.4%p 올라 74.4%를 기록했다. 상위권 의대 중 서울대는 분석 시점까지 추가 합격자를 공표하지 않았다.
비수도권은 충북대(148.3%)·제주대(75.7%)·부산대(59.6%)·연세대 미래캠퍼스(30.1%) 순이다. 전체 등록 포기율은 71.8%다. 전년도(43.9%)보다 27.9%p 증가했다.
종로학원은 "의대 중복 합격으로 (등록 포기자가 늘면서) 전년도보다 추가 합격 인원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추가 합격을 통해 (의대 합격자가) 연쇄적으로 이동하면서 수시 미선발 인원이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수시 미선발 인원은 정시 전형으로 이월된다. 의료계는 이월 선발을 제한하면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으리라 보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교육부는 법적 책임을 들어 정시 이월 선발은 그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 교육위원회에도 '의대 모집요강에 수시 미충원 인원의 정시 이월을 명시했으므로 각 대학은 이를 준수할 의무가 있다'는 내용의 검토문을 전달했다.
수시 전형 추가 합격 통보는 오는 26일 마감된다.
관련기사
- 의협 회장 선거에서도 고개 드는 2025학년도 의대 증원 '현실론'
- 교육부 “의대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 정시 이월 선발”
- 25년 의대 수시 합격자 등록 포기율 작년 보다 늘어
- 안철수 "한덕수, '처단' 포고령 사과하고 긴급 협의체 구성해야"
- 비대위가 답답한 회원이 던진 질문…"본인이 비대위원장이라면"
- 대통령실 “정원 2년 전 예고해야해서 26년도 정해졌다”…25년은?
- “정원 늘었는데 지역 인재는 충분한가” 지방 의대들 ‘고민’
- 최상위권 학생들 지방의대 몰려…중복합격자 대거 발생 전망
- '25년 정원 논의' 움직임에 수험생 혼란 "올해가 의대 막차?"
- '최상위권' 의대 집중 현상 심화…수시 이탈자 대거 발생
- 25학년도 의대 신입생 “이젠 안 받을 수 없어”vs“절대 안돼”
- 與서도 “의대 수시 미충원 인원 정시 선발 말아야”
- 서울대 수시 합격자 등록 포기율 감소…의대 증원 영향?
- 지방의대 수시 등록 포기자 전년 대비 2.4배↑
- 의대 정시 이월 105명, 전년 대비 3배…"증원 영향"
- 감사원, '의대 증원 감사' 돌입할까…교육위, 요구안 의결
- 증원 여파로 추가모집 의대 늘어…11명 뽑는데 4828명 지원
- 증원 여파 의대 간 이동 386명 '역대 최고'…호남권 77명 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