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학회 대토론회서 "문제 회피 말아야" 목소리
"政 통해 문제 해결하려는 태도 바꿔야…스스로 노력을"
의정 갈등이 10개월을 넘어가는 이 때 교수 사회에서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다. 의료 현안을 주도하기보다 정부에 의존하면서 역으로 정부가 의료계를 압박할 여지를 줬다는 것이다. 교수들은 '정부가 책임지라'는 관성을 타파하지 않으면 이번 의정 갈등처럼 "화살이 우리에게 돌아온다"고 했다.
6일 한국의학교육학회가 연세의대 윤인배홀에서 진행한 제8회 의학교육 평가 컨퍼런스 '의학교육 정책 대토론회'에 참석한 원광의대 A 교수는 "사실 의사가 더 필요한지 아닌지, 의대 정원을 줄일지 늘릴지는 우리가 결정할 문제였다. 그러나 이런 사태가 닥칠 때까지 그런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A 교수는 "대통령 지지율이 10%대로 떨어져도 의료개혁 지지율은 60% 수준을 유지했다. 정부도 문제지만 우리의 일을 회피하고 있던 의료계도 되돌아봐야 하지 않나 개인적으로 반성한다"면서 "이번 사태가 일단락되면 의료계가 모여 의대 정원을 비롯해 의사 수 추계에 대해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가톨릭의대 B 교수는 "의사들이 직접 인력 추계를 하지 않았다기보다는 의료관리학과나 예방의학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이야기 해도 (의료계 내에서) 잘 받아들여지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의학교육학회 관계자인 C 교수는 "의료계가 우리가 요구해도 정부가 들어주지 않는다고 하면서 결국 은연 중에는 문제를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만 생각하는 것 같다"면서 "(이같은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우리가 열심히 한다고 했던 일들이 결국은 우리를 향하는 화살로 되돌아온다"고 지적했다.
C 교수는 "전공의 수련 환경 문제만 해도 이전부터 전공의들은 정부를 향해 도저히 못살겠다고 하소연했다. 교수들과 먼저 이야기하고 병원 환경을 개선하고자 (병원 측과) 협상하기보다는 언론에 먼저 문제를 퍼트리고 정부를 통해 (교수와 수련병원이) 전공의를 학대하고 인권을 유린한다고 말하지 않았느냐"면서 "그리고 이제 정부는 이를 빌미로 삼아 의료계를 압박하고 있다"고 했다.
교수 사회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학교도 병원도 안 듣고 대한의학회도 움직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정부를 찾게 됐다면서 "(의료계 안에서) 우리가 잘해보자는 생각을 하지는 않고 어느 순간 외부에 있는 정부를 통해 바꿔보려고 하게 됐다. 이제는 이런 식으로 가면 안 된다. 10년 뒤에 다 우리에게 돌아온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