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대학병원 총 763병상 축소
중환자실 증설 등 필수 인프라 강화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8개 대학병원이 총 763병상을 줄인다. 모두 일반병상으로 세브란스병원이 290병상 감축으로 가장 많다.
보건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1차 선정 기관으로 고려대안암·구로·안산병원, 경북대병원, 경희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전북대병원, 중앙대병원을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들 병원은 지원사업 선정평가 자문단에서 ▲병상감축 계획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사업 참여 ▲구조전환 이행계획 수립 요건을 모두 충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지원사업에 참여한 8개 상급종합병원은 중환자실, 특수병상, 소아·고위험분만·응급 등 유지·강화가 필요한 병상을 제외한 일반병상을 감축하고 자체 계획에 따라 중환자·응급 등 진료에 필요한 인프라를 확충해나가기로 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은 기존 2,111병상에서 1,821병상으로 290병상 ▲전북대병원은 1,010병상에서 960병상으로 50병상 ▲고대구로병원은 921병상에서 825병상으로 96병상 ▲고대안암병원은 895병상에서 809병상으로 86병상 ▲경북대병원은 758병상에서 724병상으로 34병상 ▲경희대병원은 758병상에서 684병상으로 74병상 ▲고대안산병원은 712병상에서 645병상으로 67병상 ▲중앙대병원은 645병상에서 579병상으로 66병상 감축한다.
또한 병원 상황에 맞게 ▲신경계 중환자실 ▲응급전용중환자실 10병상 ▲외과계 중환자실 20병상 ▲고위험산모집중치료실 2병상 ▲신생아중환자실 2병상 ▲권역응급의료센터 10병상 ▲중환자실 19병상을 증설하는 등 중증‧필수의료 중심 인프라를 강화한다.
중증‧응급‧희귀질환 중심 인력 운영 계획도 제출했다. 이에 따라 ▲일반병상 축소 인력을 진료지원 간호사로 전환 ▲일반병상 축소 인력 중심 진료과별 팀 구성 및 정원 확대 ▲전문의+진료지원간호사 팀 운영 위한 프로토콜 도입 등을 추진한다.
전공의 수련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전공의 수련교육 담당 지도전문의 지정 ▲지도전문의 다면평가를 통한 전공의 교육 피드백 도입 ▲해외 전공의 수련교육 담당 기관과 MOU 체결해 수련프로그램 개선 추진 ▲인턴 대상 저난이도 임상실습 참여기회 확대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의료 현장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계획이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적합질환군을 보완하고 현행 중증환자 분류체계를 단순히 상병 기준이 아닌 연령, 기저질환 등 환자 상태를 반영하는 새로운 분류 기준으로 전환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정경실 의료개혁추진단장은 “선정된 8개 상급종합병원 외 현재 10개 상급종합병원이 신청서를 제출했다"며 "초기에는 주 단위로 선정하면서 준비가 된 상급종합병원에는 조속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하는 한편, 구조 전환에 좀 더 시간이 필요한 상급종합병원은 상황에 맞게 충분히 준비하고 들어올 수 있도록 연말까지 신청을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을 통해 바람직한 전달체계로 이행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세밀히 살피고 현장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가면서 계속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상종 구조전환에 3조 투입? 건보재정으로 병원 손실 메우는 꼴"
- 5년 계획 ‘중증진료체계 강화 시범사업’ 1년 만에 정리 수순
- 방대한 ‘의개특위 1차 실행방안’ 어떻게 추진될까
-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8곳 1차 참여
-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참여하면 어떤 혜택이?
- ‘상종 구조전환 지원사업’ 우려 표한 서울대병원장
- ‘상종 구조전환 사업’ 10곳 추가될 듯…빅5병원 1곳 포함
- ‘거꾸로’ 가는 의료개혁…지방 상급종합병원 떠나는 전문의들
- 서울아산 포함 10개 병원, 상종 구조전환 지원사업 합류
- 상종 구조전환사업 ‘13개’ 병원 추가 참여…591병상 감축
- '큰 수술' 앞둔 상급종합병원 "매우 위험한 상황…성공 자신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