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석 의원 지적…최약계층 대상 광고 3건 불과

보건복지부가 올 상반기 광고비 중 절반에 가까운 45%를 의료개혁 홍보에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은 복지부의 ‘광고비 지출 현황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서 의원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의료개혁 관련 광고비 집행은 263건, 광고비 집행금액은 77억원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광고비 집행 금액인 174억원의 44.7%, 광고건수 기준으로는 46%에 해당한다.

매체종류별로 보면 광고건수가 가장 많은 매체는 46%(121건)를 차지한 인쇄매체였으며, 방송(19.8%, 52건), 인터넷(16.3%, 43건) 등이 뒤를 이었다. 광고비 집행금액 기준으로 보면, 방송광고에 25억 5,300만원이 집행돼 32.8%로 가장 많았고, 인터넷이 21억 7,200만원으로 27.9%, 옥외매체가 14억 4,400만원으로 18.6%를 기록했다.

전체 광고의 절반에 가까운 자원을 의료개혁 관련 광고에 투입하면서 예년과 비교해 다른 광고는 상대적으로 홀대받았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약자복지를 강조하면서 내세운 긴급복지 및 생계급여, 기초연금 관련 정책홍보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긴급복지와 생계급여 광고는 올해 8월까지 단 한 건의 광고도 집행되지 않았고 기초연금 광고는 단 1건에 불과했다.

서 의원은 정부가 주먹구구식 정책 강행으로 초래된 의료대란 때문에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자원을 투입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정부광고의 본질과 목적은 는 국민 전체의 복지와 이익 증진임에도 윤석열 정부의 광고집행 행태는 자신들이 초래한 의료대란에 잘못이 없음을 강변하는 데만 집중하면서 사회적 약자와 공동체 전체를 위한 역할에는 소홀히 하고 있다”며 “의료대란이 초래한 나비효과가 혈세 낭비와 취약계층 소외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