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부터 6월 자살신고 1만4419건…응급실 내원 줄어
지역사회 연계율 37.5% 최하…“꾸준한 사례관리 必”
의대 증원 사태로 응급의료체계가 무너지면서 자살 예방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자살신고는 늘고 있지만 자살시도자가 응급실을 통해 병원을 찾는 경우는 줄었다.
26일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내원자 현황자료’에 따르면 의정 갈등이 발생한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소방청이 받은 자살신고는 1만4,41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3건 증가했다.
그러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내원자 수는 같은 기간 1만3,046에서 1만86명으로 22.7% 감소했다.
응급실 기반 사후관리 사업을 수행하는 의료기관 수가 매년 늘면서 내원자 수도 늘고 있지만 올해 들어 상황이 달라졌다.
응급실 기반 사후관리 사업기관은 지난 2019년 63곳에서 2024년 87곳으로 늘었다. 응급실을 찾은 자살시도자도 2019년 2만1,545명에서 2023년 3만665명으로 늘었지만 올해 6월 기준 1만2,628명으로 감소했다. 남은 기간을 고려해도 낮은 수준이다.
자살예방법 제7조에 따라 응급실 기반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하는 의료기관에 자살 시도로 내원한 환자가 사후관리 서비스에 동의하면 병원에서 단기 사후관리를 받고 거주지 내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돼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지역사회 연계율은 올해 최하점을 찍었다. 지난 2019년 39.3%에서 2020년 39.9%로 0.6%p 올랐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지역사회 연계율은 2021년 38.9%로 떨어진 이후 2022년 38.3%, 2023년 38.1%, 2024년 6월 기준 37.5%까지 하락했다.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방문한 내원자의 연령별 현황을 살펴보면 20대 이하 비중은 지난 2019년 35.0%에서 2023년 43.4%로 8.4%p 증가했다. 특히 10대 이하 연령대 비중이 2019년 12.0%에서 2023년 16.7%로 늘었다.
자살원인은 정신장애가 36.7%로 가장 많았고, 대인관계 18.9%, 말다툼 등 10.6% 순이었다.
박 의원은 “응급실 기반 사후관리사업 수행기관을 늘리는 등 양적 성장을 이루는 거과 함께 응급실 기능을 정상화하고 자살시도자가 꾸준히 사례관리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자살시도자의 자살원인 중 정신장애와 대인관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응급실 기반 사후관리사업의 지역사회 연계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