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월드데이터 사용으로 보다 정교한 예측 가능해져”

GC녹십자는 국내 혈우병 환자 개인 맞춤형 소프트웨어 ‘WAPPS-HEMO(왑스-헤모)’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혈우병 치료제 '그린모노주’ 제품 사진 (사진제공: GC녹십자)
혈우병 치료제 '그린모노주’ 제품 사진 (사진제공: GC녹십자)

’WAPPS-HEMO’는 GC녹십자의 혈우병 치료제 ‘그린진에프’와 ‘그린모노’를 처방하는 의료진이 환자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예측해 적절한 투여 용량 및 간격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로 지난 2022년 출시됐다.

‘WAPPS-HEMO’를 사용하는 환자는 전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예측된 혈중 응고인자 수치를 확인해 주도적으로 질환을 관리할 수 있다.

이번에 업그레이드된 ’WAPPS-HEMO’는 기존 집단약동학 (Population PK) 모델보다 약 4배 가량 많은 실사용 데이터(Real World Data, RWD)를 이용해 개인별 예방 요법 치료 시 정확도를 높였다. 특히, 소아와 노인 환자들의 예방 요법 치료 시 정확도가 크게 높아졌다.

한국혈우재단의원 유기영 원장은 “의료 현장에서 ’WAPPS-HEMO’ 사용으로 혈우병 환자의 연간 출혈 빈도가 감소하고 삶의 질이 향상되고 PK 기반 예방 요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보다 정교한 예측이 가능해져 환자별 개인 맞춤 치료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GC녹십자 최봉규 데이터사이언스센터장은 “국내 혈우병 환자 개인 맞춤치료를 통해 투약 순응도를 높이고, 출혈률 감소로 인한 총 의료비 절감과 동시에 환자 삶의 질 개선이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희귀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