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보건노조 파업 관련 관계장관회의’서 당부
한덕수 국무총리가 보건의료노조 파업 예고에 극단적 행동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다만 간호법 제정, 진료지원(PA) 간호사 시범사업 등을 통해 보건의료인력 처우개선을 약속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보건의료노조 파업 관련 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앞서 보건의료노조는 오는 28일까지 노사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29일부터 총파업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 총리는 “코로나19 팬데믹부터 전공의 이탈 의료공백 상황까지 간호사,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요양보호사들을 포함한 보건의료인들은 국민과 환자들을 위해 격무를 버티며 묵묵히 환자 곁을 지키고 있다”며 “정부가 여러분의 어려움을 잘 알고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파업과 같은 극단적인 행동에는 동의할 수 없다”며 “특히 국민 생명과 건강을 돌보고 있는 보건의료분야이기에 더욱 그렇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 총리는 현재 진행 중인 진료지원(PA) 간호사 시범사업은 물론 간호법 제정안 국회 통과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지난해 4월 간호인력지원 종합대책 발표로 간호사 근무여건 개선에 착수했으며 의료개혁 일환으로 진료지원 간호사 시범사업을 시행 중”이라며 “특히 간호법이 국회에서 조속히 제정될 수 있도록 요청하고 이번 회기 통과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한 총리는 “파업과 같은 집단행동보다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 의료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한 의료개혁 완수의 길에 계속 힘을 보태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간호사 업무 시범사업' 경험한 간호사들 "여전히 불안"
- 與野 간호법 공방…여 “야당이 소극적” vs 야 “대통령 거부권이 원인”
- 복지위 법안소위, PA 조문 이견으로 ‘간호법’ 결론 못내려
- 보건의료노조, 29일 총파업 돌입…3만여명 참여 전망
- 보건의료노조 파업 예고에 政 “대화와 협의로 문제 해결해야”
- 다른 직역으로 번지는 ‘간호법’ 반감…“쟁점 입장 반영 안돼”
- 醫 “정부·여당, 간호법→PA 활성화로 전공의 떠나라 부채질”
- 간호조무사들 “여야는 간호사만 중요한가” 간호법 ‘결사반대’
- 복지위 법안소위 문턱 넘은 '간호법'…본회의까지 일사천리?
- ‘간호법’ 복지위 소위 통과에 의협 “의료 멈출 수밖에”
- ‘총파업’ 보건의료노조, 간호법 복지위 통과에 “교섭 타결 청신호”
- 의협, 간호법 제정에 ‘간호사 불법행위 피해신고센터’로 대응
- 국립암센터 노사, 단체교섭 잠정 합의로 파업 피해
- 추석 응급의료체계 비상…政 ‘돈’으로 막는다
- ‘간호법’ 반대 이주영 “직역 다툼 불가피…전문의 배출에도 악영향”
- 의료기관 62곳 중 59곳 교섭 타결…조선대병원 파업 돌입
- 政, 기승전 ‘의대 증원’→기승전 ‘의료개혁’ 일방통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