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태 원장 "디지털 헬스로 가치 기반 의료 구축"
특성화한 내부 네트워크와 공공의료로 의료 발전 포부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21일 기자간담회에서 국가중앙병원으로서 서울대병원 각 조직의 특성을 극대화한 내부 네트워크와 전국 공공의료기관 간 수평적 네트워크를 엮어 의료 환경 발전을 이루겠다고 했다(ⓒ청년의사).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21일 기자간담회에서 국가중앙병원으로서 서울대병원 각 조직의 특성을 극대화한 내부 네트워크와 전국 공공의료기관 간 수평적 네트워크를 엮어 의료 환경 발전을 이루겠다고 했다(ⓒ청년의사).

서울대병원이 디지털 헬스케어를 발판으로 가치 기반 의료 시스템 구축을 선언했다. 배곧서울대병원과 어린이병원이 핵심이다.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21일 서울 종로구에서 개최한 취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병원 운영 계획을 공유하고 주요 경영 전략과 추진 사업을 소개하면서 "한국에 최적화된 K-디지털 의료 개발을 이끌어가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간 서울대병원 조직이 축적한 의료 데이터와 우수한 의료진 역량을 결합해 '미래의료'를 선도하겠다고 했다.

서울대병원이 그리는 디지털 헬스 시작점은 어린이병원이다.

김 원장은 "한 사람이 태어나 사망에 이르기까지 종적 의료 데이터의 가치가 크다. 어린이병원은 이를 축적할 수 있는 최적의 기관이다. 따라서 어린이병원을 통해 미래의료의 시작을 계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국내 최초 '디지털병원'으로 개원한 분당서울대병원의 혁신과 공공의료 구심점이 된 보라매병원의 경험, 예방과 건강 관리에 특화된 강남센터의 서비스 등 각 조직의 특성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의생명연구원과 융합의학기술원을 통해 연구 인프라도 확장한다.

이렇게 서울대병원의 '특성화(수직적) 네트워크'로 쌓은 역량을 배곧서울대병원에 결집하겠다는 구상이다. 경기도 시흥시에 들어서는 배곧서울대병원은 오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어린이병원을 시작으로 배곧서울대병원을 거쳐 미래의료를 선도할 'K-디지털 의료'를 완성하겠다고 했다(자료 제공: 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은 어린이병원을 시작으로 배곧서울대병원을 거쳐 미래의료를 선도할 'K-디지털 의료'를 완성하겠다고 했다(자료 제공: 서울대병원).

김 원장은 "디지털 헬스를 접목한 '미래 어린이병원'에서 시작해 다음 단계는 배곧서울대병원이다. 새로운 병원에서 새로운 미래병원을 시작하겠다"면서 "배곧서울대병원이 들어서는 시흥은 서울대 캠퍼스가 있고 곧 연구소가 온다. 고령화 시대 의료부터 원격의료,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 등 미래 디지털 헬스 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성하겠다"고 했다.

여기서 구현한 디지털 헬스 시스템은 서울대병원의 'SNUH 네트워크'에서 검증하고 전국 공공의료기관으로 확산시키겠다고 했다. 김 원장은 "전국 공공병원 간 '수평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진료부터 연구·개발까지 전체 의료 수준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디지털 헬스부터 유전체·재생의료·원격의료·의료기술 모든 분야에서 서울대병원이 선도적 역할을 맡아 국민에게 세계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면서 "공공의료기관이자 대한민국 최고 의료기관인 서울대병원이 짊어져야 할 책임이다. 서울대병원이 만드는 수직·수평적 네트워크로 대한민국 의료를 선도하고 세계로 나아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