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병원 최석환 교수, 저용적 환자에서도 일관된 효과 주목

질환의 용적 또는 위험도와 관계없이 모든 호르몬 반응성 전이성 전립선암(metastatic hormone sensitive prostate cancer, mHSPC) 환자에서 치료 효과를 입증한 아스텔라스 '엑스탄디(성분명 엔잘루타마이드)'가 대한비뇨의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주목을 받았다.

경북대병원 비뇨의학과 최석환 교수는 지난 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1년 제73차 대한비뇨의학회 정기학술대회 새틀라이트 심포지엄에서 '호르몬 반응성 전이성 전립선암 환자의 새 치료 옵션, 엔잘루타마이드'를 주제로 발표하며, mHSPC에 대한 최신 치료 지견과 임상에서 확인한 엑스탄디의 치료 효과 연구 데이터를 소개했다.

경북대병원 비뇨의학과 최석환 교수가 지난 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1년 제73차 대한비뇨의학회 정기학술대회 새틀라이트 심포지엄에서 '호르몬 반응성 전이성 전립선암 환자의 새 치료 옵션, 엔잘루타마이드'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경북대병원 비뇨의학과 최석환 교수가 지난 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1년 제73차 대한비뇨의학회 정기학술대회 새틀라이트 심포지엄에서 '호르몬 반응성 전이성 전립선암 환자의 새 치료 옵션, 엔잘루타마이드'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날 소개된 엑스탄디의 주요 임상인 ENZAMET 연구에 따르면, mHSPC 환자에서 엑스탄디와 안드로겐 차단요법(androgen deprivation therapy, 이하 ADT) 병용 시 비스테로이드 항안드로겐 요법과 ADT 병용 투여군 대비 전체생존기간(OS)과 무진행생존기간(PFS)이 유의하게 개선됐다.

엑스탄디와 ADT 병용 투여군에서 사망 위험이 33%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PSA 진행 위험이 61% 유의하게 감소한 것이다.

최석환 교수는 "특히 엑스탄디와 ADT 병용 투여는 내장 전이가 있거나, 1군데 이상의 척추 및 골반 외 전이를 포함한 4군데 이상의 골 전이가 있는 환자에 해당되지 않는 저용적(Low Volume)의 환자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엑스탄디와 ADT 병용 투여가 전이의 정도(Volume)와 관계없이 호르몬 반응성 전이성 전립선암(mHSPC) 환자에서 질병의 진행과 사망의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엑스탄디의 또 다른 주요 임상인 ARCHES 연구의 경우, 엑스탄디와 ADT 병용 투여군에서 질환의 용적 또는 위험도와 관계없이 위약과 ADT 병용 투여군 대비 영상학적 진행 및 사망 위험(rPFS)이 61% 줄어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날 최 교수는 지난 9월 16~21일 2021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2021 ESMO Virtual Congress)에서 발표된 ARCHES 연구 참여자의 전체생존기간(OS) 최종 분석 결과도 전했다. 결과에 따르면 엑스탄디와 ADT 병용 투여군은 위약과 ADT 병용 투여군 대비 사망 위험을 34% 감소시켰다.

이는 질환에 따른 용적 또는 위험도와 관계없이 엑스탄디 ADT 병용 투여군이 대조군 대비 전체생존기간(OS)에서도 긍정적 결과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이같은 근거들을 바탕으로 엑스탄디는 2021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에서 mHSPC 환자 치료에 'Category 1'으로 우선 권고되고 있으며, 유럽비뇨기학회(EAU) 가이드라인에서도 원격전이가 있는 전립선암 치료에 권고되고 있다.

최석환 교수는 "일반적으로 국소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 5년 상대생존율이 약 100%에 가까우나 원격전이가 있는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 5년 상대생존율이 44.9%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라며 "예후가 좋지 않은 전이성 전립선암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하기 위해 환자들이 효과적인 새 치료 옵션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