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매병원 연구팀, 무릎 골관절염-조갑진균증 연관성 확인
자기관리 어려운 고령층 골관절염 환자에서 조갑진균증 유병률 높아

흔히 손발톱 무좀으로 알려진 조갑진균증이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보라매병원 피부과 조소연 교수, 정형외과 강승백 교수 공동연구팀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조갑진균증 유병률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2018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1년 간 보라매병원 정형외과를 찾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 520명을 대상으로 조갑진균증 유병률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자 가운데 조갑진균증 유병률은 평균 유병률 4.3%보다 14배 높은 59.2%로 나타났다. 이는 60세 이상 고령층 조갑진균증 유병률 20.7%보다도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슬관절 골관절염 진단 척도인 '켈그렌-로렌스 분류법(Kellgren-Lawrence)'을 기반으로 한 분석에서도 두 질환 간 연관성이 확인됐다. 무릎 골관절염 중증도가 낮은 그룹의 조갑진균증 중증도 지수(SCIO)는 평균 12.3인 반면, 중증도가 높은 그룹의 SCIO 지수는 평균 16.3으로 그 차이가 약 30%에 이르렀다.

연구팀은 관절염 중증도가 높은 경우 자기관리가 어려워 그만큼 조갑진균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했다.

주저자인 조 교수는 "조갑진균증은 무좀으로 사소하게 여겨질 수 있으나 고령층에겐 막대한 의료비 부담을 줄 수 있는 질환"이라면서 "무릎 골관절염을 앓은 고령자는 손발톱 관리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피부과학회지 'Acta Derm Venereol'에 지난 8월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