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레지던트 수련 프로그램 (PGY1 - PGY5)

PGY1

전환기 & 기본 습득 (Foundation & Acquisition)

핵심 키워드: 기본 진단/면담 기술, 내과/응급의학/신경과 순환

필수 이수 항목:
  • F1 EPA (의학적 발표 관리) 완료
  • 8회 관찰 평가 (의학적 응급, 중독/금단, 신경정신과 등 모든 상황 변수 충족)
  • 최소 1명 이상: 응급실/신경과 등에서 정신과 증상을 보인 환자 진료 경험
  • 필수: 자/타해 위험 환자 평가 경험
PGY2

입원/외래 본격 수련 (Intensive Inpatient/Outpatient Training)

핵심 키워드: 급성 환자 진료, 약물치료 및 심리치료 적용

필수 이수 항목:
  • ECT 시술 최소 2회 (참관/경험)
  • 온콜 평가 제출:
    • 성인 환자: 런던 캠퍼스 8회 / 윈저 캠퍼스 분기별 3회씩
    • 소아청소년 환자: 런던 캠퍼스 4회
PGY3

소아청소년 & 노인 정신과 심화 (Child/Adolescent & Geriatric Psychiatry)

핵심 키워드: 특수 영역 전문화, ECT 직접 수행

소아청소년 정신과 (총 4명 이상):
  • ADHD 1명, 트라우마 1명, 발달장애 1명 (각 1명 이상 필수)
  • 아동 (4~12세) 2명, 청소년 (13~18세) 2명 (필수 진료)
노인 정신과 (총 6명 이상):
  • 신경인지장애 최소 3명 (행동심리증상 환자 1명 포함)
  • 다약제 환자 1명
  • 우울 환자 1명, 불안 환자 1명 (각 1명 필수)
  • ECT 시술: C7 EPA Part A/B (적합성 평가 및 시술 직접 수행)
PGY4

복합 만성 질환 & 자문 정신과 (Complex Chronic Illness & Consultation)

핵심 키워드: SPMI (복잡한 만성 정신질환), 지역사회 협진

필수 이수 항목:
  • 클로자핀/LAI 처방 경험
  • 자문정신과 환자 최소 2명
  • 섬망 환자 2명 포함 특정 케이스
  • RCPSC 시험 준비를 위한 '통합 블록' 배정
PGY5

실무 전환 & 독립 진료 (Transition to Practice - Junior Attending)

핵심 키워드: 주니어 어텐딩, 독립 진료

필수 이수 항목:
  • 최소 3개 블록 독립진료임상 (IPCR) 운영
  • P1 EPA (진료/행정 관리) 반드시 통과
  • 주니어 컨설턴트 온콜 경험 (시작 후 3개월 이내 제출)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