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회, '(가칭)전공의 수련교육원' 설립 방안 공개
수련교육·평가부터 주요 현안 대응까지 담당 계획
"전문과별 특성·자율성 침해 없도록 단계별 접근" 요청도

대한의학회는 13일 학술대회에서 (가칭)전공의 수련교육원 신설 방안을 논의했다(ⓒ청년의사).
대한의학회는 13일 학술대회에서 (가칭)전공의 수련교육원 신설 방안을 논의했다(ⓒ청년의사).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과 교육 질 향상 요구가 커지면서 의학계가 관련 현안을 총괄하는 상설 기구 설립을 추진한다.

대한의학회는 13일 '소통과 공감 그리고 우리의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개최한 학술대회에서 (가칭)'전공의 수련교육원' 신설 방안을 공개했다.

수련교육원은 ▲교육과정 연구·개발 ▲수련 평가 ▲지도전문의 역량 개발 ▲수련기관 평가·인증 ▲교육 연수 업무를 총괄하는 상설 조직이다. 역량 중심 수련교육 인프라 구축으로 졸업 후 의학교육(GME) 체계를 수립하고, 전공의 수련 관련 현안을 다룬다.

의학회 박용범 수련교육이사(연세의대)는 "GME 체계 확립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의학회와 각 전문과학회 수련교육이사를 중심으로 주요 현안에 대응하면서 연속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다보니 '상설 조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신설하는 수련교육원은 "전공의 수련교육과 평가 인프라를 구축하고 26개 전문학회 수련교육을 총괄한다. 'E-learning'과 시뮬레이션 교육을 도입해 누구나 양질의 수련을 동일하게 받을 수 있는 수련 교육 표준화도 추진하겠다"면서 "전공의 수련교육 관련 국가 의료 정책 연구를 수행하고 자체적으로 정책을 제안하는 기능도 수행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한다. 실행보다 중요한 것이 기획과 평가다. 수련교육원을 중심으로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양질의 전공의 수련교육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수련 표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과별 특성을 지우고 전문과학회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윤신원 교육수련이사(중앙의대)는 "26개 전문과마다 수련 환경이나 여력이 다르다. 하지만 의학회 내에서 과별 상황을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 이런 점을 더 고려해 달라"고 요청했다.

대한성형외과학회 홍종원 홍보이사(연세의대) 역시 각 학회 자율성과 특성에 대한 고려가 더 필요하다고 했다. "술기 위주로 수련 과정을 구성하는 성형외과로서는 내과 위주 교육 이론과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E-learning이나 시뮬레이션 교육이 (술기를 익히는) 현장을 소외시킬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영상의학과 이제희 수련이사(연세의대)는 "수련교육원 같은 기관을 만들고 운영 규정을 마련하기 전에, 정말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방향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당장 새 기관을 설립하기보다는 의학회 내 각 학회 수련교육이사 모임 역할을 확대하는 등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나가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