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醫 "투쟁 최선봉 설 것…후배들 전적으로 신뢰"
회장 직선제 전환은 대의원 정족수 부족으로 상정 불발

서울시의사회는 제적 당하는 의대생을 보호하고자 투쟁 선봉에 서기로 결의했다(ⓒ청년의사).
서울시의사회는 제적 당하는 의대생을 보호하고자 투쟁 선봉에 서기로 결의했다(ⓒ청년의사).

대학 복귀를 택하지 않아 제적 위기에 몰린 의대생을 지키고자 투쟁도 불사하겠다는 지역의사회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의사회는 지난 29일 제79차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의대생 복귀 여부를 두고 "후배들의 판단을 전적으로 신뢰하며 그 결단을 뒷받침하고 함께하겠다"며 대학에 돌아가지 않는다는 이유로 "의대생 제적이 현실화되면 모든 조처, 모든 투쟁의 최선봉에 나서겠다"고 결의했다.

이날 채택한 결의문에서 서울시의사회원은 "무능한 정책으로 일관하는 보건복지부 장차관은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면서 "정부는 신뢰할 수 있는 당국자로 일신해 대화와 타협에 임하라"고 촉구했다. 의료계와 협의하지 않으면 "어떤 정책이든 좌초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울시의사회 대의원회 한미애 의장은 "그간 우리는 무엇을 했나. 우리가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았다. 우리가 쥔 것을 내려놓지 않았고 환자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물러섰다"면서 "우리가 먼저 의대생과 전공의를 믿어야 하고 우리의 믿음을 보여줘야 한다. 말을 앞세우기보다는 힘을 보태야 한다"고 했다.

황규석 서울시의사회장은 의대생과 전공의 희생을 헛되이 만들어선 안 된다고 했다(ⓒ청년의사).
황규석 서울시의사회장은 의대생과 전공의 희생을 헛되이 만들어선 안 된다고 했다(ⓒ청년의사).

황규석 회장은 "지난 1년 의대생과 전공의가 길에 나와 있었다. 이들이 무엇을 위해 싸워왔는지 잊어선 안 된다. 이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으려면 선배들이 노력해야 한다"며 "비상계엄은 끝났지만 의료계엄은 여전히 의료계를 짓밟고 있다. 의료계엄을 하루빨리 끝내기 위해 우리 모두 마음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장 직선제 정족수 부족으로 상정 불발…"다음 정총에선 다뤄야"

이날 정총에서 투표에 부칠 예정이던 서울시의사회 회장 선거 직선제 전환 안건은 대의원 183명 중 106명만 참석하면서 정족수 부족으로 상정되지 못했다. 회칙 개정은 대의원 3분의 2 이상이 출석해야 다룰 수 있다.

한 의장은 "중요한 안건인 만큼 (정총) 하루 전까지 교체 대의원 신고를 요청했고 정총 당일까지 신청을 받았다"면서 "투표 준비까지 마쳤는데도 안건을 상정하지 못해 허무하고 마음이 아프다. 다음 정총에서는 이같은 일이 없길 바란다"고 했다.

좌훈정 부회장은 "지난 20여년 동안 직선제 개정안이 올라왔지만 통과되지 못했다. 대의원 정족수 부족이 고질적인 문제"라면서 "현 의료 사태를 돌아보면 우리의 진정한 적은 회원의 무관심과 미참여다. 회장을 간선제로 선출하니 회장 이름도 모르게 된다. 대의원회 산하 회칙개정특별위원회를 마련해 다음 정총에는 (직선제 전환이) 꼭 통과되길 바란다"고 했다.

서울시의사회장 선거 직선제 전환이 정족수 부족으로 상정되지 못하자 한미애 의장이 아쉬움을 드러냈다(ⓒ청년의사).
서울시의사회장 선거 직선제 전환이 정족수 부족으로 상정되지 못하자 한미애 의장이 아쉬움을 드러냈다(ⓒ청년의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