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신약개발사업으로 선정…2026년까지 후보물질 개발 목표

대웅제약 박준석 신약센터장(왼쪽)과 박영민 국가신약개발사업단장이 DWP220 개발 과제 협약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제공: 대웅제약).
대웅제약 박준석 신약센터장(왼쪽)과 박영민 국가신약개발사업단장이 DWP220 개발 과제 협약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제공: 대웅제약).

대웅제약이 중증 간 섬유증 치료를 위한 세계 최초의 경구용 신약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대웅제약은 신약 후보물질 'DWP220'이 2024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최종 선정됐다고 18일 발표했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부처 국가 R&D 사업으로, 2021년부터 10년간 신약개발 전주기를 지원한다.

간 섬유증은 간의 반복적 손상과 염증으로 정상 조직이 비정상 결합조직으로 대체되는 질환이다. 주로 지방간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DWP220은 간 섬유증의 주요 원인인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 약물은 섬유화 진행을 막고 이미 진행된 섬유화를 감소시키며 조직 손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치료제들의 효과가 제한적인 가운데, 중증 간 섬유증의 근본적 치료제는 전무한 상황이다. 글로벌 간 섬유증 시장은 2028년까지 연간 10% 이상 성장해 약 36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웅제약은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베르시포로신'의 2상 임상시험 경험을 토대로, 섬유증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기술과 노하우를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6년까지 후보물질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대웅제약 박성수 대표는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으로 개발 가능성을 재확인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아직 치료제가 없는 중증 간 섬유화 질환 시장에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