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 대비 증상 완화율 높아”…韓·中 환자 통합 분석 결과
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은 한국과 중국의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513명을 분석한 결과 ‘펙수클루’가 대조군 에소메프라졸보다 약효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한중 통합 분석 결과는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최대 규모 소화기학회(United European Gastroenterology Week, UEGW 2024)에서 발표됐다.
위식도역류질환은 위산이나 위 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가슴쓰림’과 ‘산역류’다.
분석 결과 펙수클루의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율’은 8주차에서 약 98.0%로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또 ‘주증상 완화율’ 지표도 펙수클루는 기존 치료제인 PPI 계열 에소메프라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상 개선이 확인됐다.
특히 치료 초기인 1~3일차 시점부터 증상 개선도의 차이가 뚜렷했다. 치료 초기 펙수클루의 주·야간 주요 증상이 없는 날의 비율은 각각 펙수클루 20.4%, 에소메프라졸 투약군 11.9%로 펙수클루의 증상 완화율이 71.4% 높았다.
또 야간 산분비로 인한 증상 개선 효과 역시 펙수클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했다. 중등도 이상 환자의 경우 1일~3일 차까지 펙수클루의 야간에서 주요 증상이 없는 날의 비율은 각각 32.0%, 에소메프라졸은 22.0%로 펙수클루는 에소메프라졸 대비 증상 완화율이 약 45.4% 개선됐다. 실제 펙수클루는 최대 9시간의 반감기를 보여 효과 지속기간이 길었다.
이번 통합 분석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진행됐던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3상 임상시험 연구 결과를 통합해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513명을 대상으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율과 주·야간 주요 증상이 없는 날의 비율을 평가했다. 또 중등도 이상 환자 대상으로 소그룹 분석을 진행해 치료 1일부터 7일까지 주 증상인 가슴쓰림과 산역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날의 비율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부산대병원 소화기내과 김광하 교수는 “한국과 중국의 3상 결과를 통합해 분석한 이번 연구 결과에서 펙수클루의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율이 에소메프라졸에 뒤지지 않고 약 98%로 비슷한 효과를 보이는 게 확인됐다”며, “특히 증상 개선 지표에서 펙수클루가 에소메프라졸에 비해 주·야간에 구분 없이 뛰어난 주 증상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등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08년부터 13년간 자체 기술로 연구개발해 2022년 7월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제제다. 기존 치료제인 PPI(양성자 펌프 억제제) 제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 식이 영향 등을 개선해 빠르고 안정적으로 위산 분비를 억제한다. 또 펙수클루는 반감기가 9시간으로 길어 야간 속 쓰림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며, 식사와 관계없이 아무 때나 복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련기사
- 대웅제약, 2분기 실적 '역대 최대'…“신약 효과”
- 대웅제약, 중남미 3개국에 ‘펙수클루’ 동시 출시
- 대웅제약, '펙수클루' 항염증 효과 연구 잇달아 발표
- 대웅제약, 세계 최대 소화기학회서 ‘펙수클루’ 성과 발표
- "펙수클루, 주·야간 구분 없이 우수한 주 증상 개선"
- 대웅제약, 유럽소화기학회서 '펙수클루' 홍보 나서
- '우르소데옥시콜산', 만성 간 질환 환자 코로나19 예방 재입증
- 대웅-셀트리온제약, 골다공증 치료제 ‘CT-P41’ 공동 판매
- 대웅제약, GLP-1‧GIP 동시작용 新 비만신약 후보물질 발굴
- 대웅제약-레비티, 신약 개발 연구 디지털 전환 MOU
- 대웅제약, 글로벌 의료진 대상 ‘펙수포럼’ 개최
- “PPI vs P-CAB, 장단점 달라…장기 안전성은 PPI가 우위”
- 대웅제약, 美소화기학회서 P-CAB ‘펙수클루’ 연구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