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민 의원 “해킹 시 국민건강 치명적…완벽 대비 필요”

국민건강 관리기관을 대표하는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청,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대상으로 최근 5년간 8만건 이상의 해킹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은 4일 복지부 등 각 기관을 통해 제출받은 관련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복지부 1만4,295건, 식약처 7,011건, 질병청 50건, 공단 6만1,345건, 심평원 175건 등 총 8만2,876건의 해킹시도가 있었다.

이 중 시스템 해킹에 성공한 사례는 없으나 국민 질병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해킹시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민 질병정보가 가장 많이 모여있는 공단의 시스템을 노린 해킹 시도가 가장 많은데, 2022년 1만876건에서 2023년 2만1,155건으로 두배 가량 급증해 올해까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에서의 해킹 시도가 1만8,920건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중국 1만8,246건, 한국 3,199건 등이 뒤를 이었다.

기관별로 보면 공단은 중국으로부터의 해킹 시도가 가장 많았으며, 복지부‧식약처는 미국, 질병청과 심평원은 국내에서의 해킹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해킹 목적은 다양했는데, 복지부를 대상으로는 정보 유출이 38.8%, 정보 수집이 25.8%로 정보를 노린 공격이 가장 많았다. 식약처 역시 정보 유출 목적이 36%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 수집은 17% 수준이다.

공단은 웹 페이지를 통해 권한이 없는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데이터 유출 및 파괴와 같은 행위를 하는 ‘웹해킹’ 공격이 38.7%를 차지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공격을 막아낸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나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며 “정보를 목적으로 하는 해킹 시도가 가장 많다는 것에 주목하고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부 등 우리 기관들이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과 변화하는 트렌드를 반영해 철저하고 완벽한 대비 수단을 마련할 수 있도록 예산 마련‧시스템 구축 등 전방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