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처럼 환자 북적…외과 등 일부 진료실 불 꺼져
서울의대 비대위 측 "미리 일정 변경해 차질 없을 것"
전공의들이 떠난 후 서울대병원을 지키던 교수들도 하루 쉬겠다고 한 30일, 현장에 큰 혼란은 없었다. 진료 일정을 사전에 조율한 탓이다.
이날 오전 잠시 한산해보이던 서울대병원 본관 1층 외래·원무 접수 수납 대기석은 금새 환자들도 붐볐다. 암병원과 어린이병원에도 평소처럼 진료를 접수하거나 외래 진료를 대기하는 환자들도 북적였다.
하지만 어린이병원 일부 진료실은 불이 꺼져 있었다. 외과와 흉부외과 외래 진료실에도 교수들은 없었다.
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사직과 교수 휴진 발표 전후로 환자 수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고 했다.
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안내하는 한 직원은 "평소와 환자 수가 크게 달라진 것 같진 않다. 최근에는 신경외과와 순환기내과로 유독 환자가 몰리는 것 같기는 하다"며 "불편을 접수한 환자도 거의 없다. 병원을 내원한 환자들 대부분이 미리 예약한 후 내원하기에 현장에서 불만을 접수하는 일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병원을 찾은 환자들도 큰 불편이 없다고 답했다.
남편의 진료 접수를 위해 함께 병원을 찾은 A씨는 "진료가 밀릴 수 있다는 이야기는 듣지는 못했다"면서도 "의료대란이 이어지고 있다고 해서 불안한 마음은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빨리 현 사태를 해결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이에 서울대병원과 교수비대위 측은 휴진 전 미리 외래 진료 일정을 조정하고 환자에게 연락을 했기에 큰 차질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자율 참여이기에 휴진 참여 교수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비대위 측 관계자는 "휴진 교수 통계는 없다"며 "휴진은 약 일주일 전 교수 개인이 병원에 협조전을 올려 공식적으로 신청했다. 이 경우 전화로 미리 해당일에 예약된 환자 일정을 변경하는 절차를 거친다. 지난 주부터 외래 일정을 조정해 헛걸음하는 환자가 없도록 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측 관계자도 "휴진한 교수 수는 현재 파악 중"이라며 "통상적으로 학회 등 일정을 이유로 교수가 휴진하면 기존에 잡혀 있던 외래 진료를 모두 조정해야 휴진을 신청할 수 있다. 이번에도 동일한 절차를 밟아야 하기에 환자들에게는 미리 연락이 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의협 임현택 집행부, 협의체 구성…정부와 1대 1 대화 준비
- ‘휴진’ 시작된 세브란스병원, 혼란 없어…교수들 "원점 재논의" 시위
- 복지부 “일부 교수 휴진, 큰 혼란 無”…상종 입원 7% 감소
- '용기도 없고 정직하지도 않다'…사직 불사한 교수들 尹 정부 '맹폭'
- 교수들 왜 강경해졌냐고? “2천명 던지고 찍어 누르는 정부 때문”
- '빅5병원' 교수 속속 휴진 가세…세브란스도 주 1회 휴진 참여
- 삼성서울병원 교수들 번아웃에 "주 52시간만 근무하자"
- 의대교수들 주 1회 휴진 "실현 가능성 낮다"는 정부
- 서울대병원 필수의료 교수들부터 떠난다…30일 진료 전면 중단
- 진료 단축 ‘빅5’ 교수 합류…서울대·아산병원 주 1회 휴진
- "의료계, 실력 행사 중단하고 공론장으로 나와라"
- '1년 유예' 안철수 "병원 도산 뒤에야 중재안 나올 것" 전망
- "수가 인상=의사 월급 인상? 최소인력 유지하게 해달라는 것"
- 피켓 들고 거리로 나온 교수들 "환자 곁 지키기 위한 선택"
- 주 1회 휴진 시작한 서울아산병원, 다행히 혼란은 없었다
- '8월 사직 예고' 강희경 교수, 3기 서울의대 비대위 이끈다
- 서울의대 교수들, 4일 병원 '전체 휴진' 여부 결정…"투표 진행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