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처럼 환자 북적…외과 등 일부 진료실 불 꺼져
서울의대 비대위 측 "미리 일정 변경해 차질 없을 것"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휴진을 예고한 30일 오전에는 본관 1층 로비를 찾은 환자들로 북적였다(ⓒ청년의사).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휴진을 예고한 30일 오전에는 본관 1층 로비를 찾은 환자들로 북적였다(ⓒ청년의사).

전공의들이 떠난 후 서울대병원을 지키던 교수들도 하루 쉬겠다고 한 30일, 현장에 큰 혼란은 없었다. 진료 일정을 사전에 조율한 탓이다.

이날 오전 잠시 한산해보이던 서울대병원 본관 1층 외래·원무 접수 수납 대기석은 금새 환자들도 붐볐다. 암병원과 어린이병원에도 평소처럼 진료를 접수하거나 외래 진료를 대기하는 환자들도 북적였다.

하지만 어린이병원 일부 진료실은 불이 꺼져 있었다. 외과와 흉부외과 외래 진료실에도 교수들은 없었다.

서울대병원 외과는 이날 외래 진료 접수를 받지 않았다. 진료 접수증을 뽑는 키오스크도 꺼져 있다(ⓒ청년의사).
서울대병원 외과는 이날 외래 진료 접수를 받지 않았다. 진료 접수증을 뽑는 키오스크도 꺼져 있다(ⓒ청년의사).
서울대병원 외과 외래진료실 앞에는 환자들이 한명도 없다(ⓒ청년의사).
서울대병원 외과 외래진료실 앞에는 환자들이 한명도 없다(ⓒ청년의사).

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사직과 교수 휴진 발표 전후로 환자 수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고 했다.

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안내하는 한 직원은 "평소와 환자 수가 크게 달라진 것 같진 않다. 최근에는 신경외과와 순환기내과로 유독 환자가 몰리는 것 같기는 하다"며 "불편을 접수한 환자도 거의 없다. 병원을 내원한 환자들 대부분이 미리 예약한 후 내원하기에 현장에서 불만을 접수하는 일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병원을 찾은 환자들도 큰 불편이 없다고 답했다.

남편의 진료 접수를 위해 함께 병원을 찾은 A씨는 "진료가 밀릴 수 있다는 이야기는 듣지는 못했다"면서도 "의료대란이 이어지고 있다고 해서 불안한 마음은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빨리 현 사태를 해결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순환기내과 외래 진료실 앞에 붙은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포스터(ⓒ청년의사).
순환기내과 외래 진료실 앞에 붙은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포스터(ⓒ청년의사).

이에 서울대병원과 교수비대위 측은 휴진 전 미리 외래 진료 일정을 조정하고 환자에게 연락을 했기에 큰 차질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자율 참여이기에 휴진 참여 교수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비대위 측 관계자는 "휴진 교수 통계는 없다"며 "휴진은 약 일주일 전 교수 개인이 병원에 협조전을 올려 공식적으로 신청했다. 이 경우 전화로 미리 해당일에 예약된 환자 일정을 변경하는 절차를 거친다. 지난 주부터 외래 일정을 조정해 헛걸음하는 환자가 없도록 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측 관계자도 "휴진한 교수 수는 현재 파악 중"이라며 "통상적으로 학회 등 일정을 이유로 교수가 휴진하면 기존에 잡혀 있던 외래 진료를 모두 조정해야 휴진을 신청할 수 있다. 이번에도 동일한 절차를 밟아야 하기에 환자들에게는 미리 연락이 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