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교육‧상담, 비대면 관리 등 서비스 제공
치매환자 대상 심층교육과 상담, 비대면 관리 등을 서비스하는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이 22개 지역에서 오는 7월 시작된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실시되는 1차년도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지역 22곳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은 치매 관리에 전문성 있는 의사가 치매환자의 치매증상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문제까지 포괄 관리해 주는 사업이다.
복지부는 시범사업 지역 선정을 위해 지난해 참여 의사를 공모했으며 신청 의사 수, 지역적 균형, 환자 수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구 규모, 군(郡) 등 지역 특수성 등을 고려해 22개 시군구를 선정했다.
선정 지역은 ▲서울 강동구·노원구 ▲부산 부산진구 ▲대구 달서구 ▲인천 남동구 ▲광주 북구 ▲대전 중구 ▲울산 남구 ▲세종시 ▲경기 고양시·용인시 ▲강원 원주시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홍성군 ▲전북 전주시 ▲전남 목포시·영암군 ▲경북 문경시 ▲경남 통영시·창원시 ▲제주 제주시 등이다.
시범사업 지역 및 해당 지역의 참여 병의원 목록은 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의 참여 신청 의사는 시범사업 교육 이수 등 자격을 갖춘 후 올 7월부터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심층 교육‧상담, 비대면 관리, 방문진료 등 치매관리주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사는 의료기관 소속 신경과·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또는 복지부 치매전문교육 이수자로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교육을 이수한 자에 한한다.
복지부는 향후 2년간 시범사업을 운영한 후 2026년 하반기부터는 전국 실시를 검토할 예정이며 올 하반기부터 실시하는 시범사업 1차년도의 운영 결과 등을 토대로 2차년도에는 시범사업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복지부 염민섭 노인정책관은“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치매환자가 살던 곳에서의 삶을 유지하면서 질 높은 치료‧관리 서비스를 받으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