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 다학제팀 통한 ‘환자중심 일차의료’ 실증
한국형 주치의 모델 실증을 위한 ‘일차의료개발센터’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 설치됐다.
공단은 17일부터 일산병원에서 일차의료개발센터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공단은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자 증가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는 보건의료서비스 욕구 충족을 위해 질병 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의 일차의료 정립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지난해 연구용역을 통해 지역기반 환자중심의 일차의료 모형 1~4형을 개발했다.
지역기반 환자중심 일차의료 모형은 그룹개원(의사 2명 이상 진료의원)과 다학제팀(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공급자가 주치의로 참여에 동의하는 환자를 등록해 건강관리부터 방문 진료, 비대면 관리, 교육 상담, 지역사회 보건의료자원 연계까지 제공하는 게 핵심이다.
일차의료개발센터는 연구에서 개발된 환자중심 일차의료 모형을 현장에 적용해 모형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고 수용성 있는 모델로 발전시킬 목적으로 설치됐다.
이에 환자를 건강수준에 따라 분류, 환자군별 서비스 내용과 제공방식을 검증하며, 다학제팀의 효율적 운영 방법, 비대면 환자관리 방식 등을 실증하는 한편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성해 환자 연계 협력과 환자중심 모형에 대한 의료인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이를 기반으로 운영 매뉴얼과 적합한 지불방식을 개발해 지역기반 환자중심 주치의 모형을 이차의료기관에 확산시킬 계획도 갖고 있다.
공단 이상일 급여상임이사는 “일차의료개발센터는 질병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의 일차의료를 만들어가는 ‘한국형 주치의’ 도입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국민의 건강 수명향상과 건강보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일산병원 김성우 원장은 “지속적이고 포괄적으로 국민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일차의료가 바로 서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일산병원은 보험자병원으ㅏ로 일차의료와 상생해 나갈 수 있도록 협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