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셋 게재 RACING 연구서 유효성 안전성 입증…순응도도 향상
김병극 교수 "RACING 연구 결과 계열 효과로 보긴 어려워"

한미약품의 ‘로수젯’(성분명 로수바스타틴10mg+에제티미브10mg)이 경쟁 제품들과 차별화된 근거를 앞세워 국내 이상지질혈증치료제 시장에서의 질주 채비를 갖췄다.

한미약품은 지난 8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전문언론 대상 기자간담회에서 고용량의 스타틴 단일제보다 중강도의 스타틴(로수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투여가 환자 치료에 더욱 유용하다는 RACING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연구는 '란셋'(THE LANCET)에 등재됐다.

RACING 연구는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 환자 3,780명을 대상으로 5년간 진행된 대규모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이다. 2017년 2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차의과대학, 고려대안암병원, 원광대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등 국내 26개 기관에서 모집된 ASCVD 환자 3,780명을 로수젯(로수바스타틴 10mg+에제티미브 10mg) 병용요법군 1,894명과 고강도 스타틴(로수바스타틴 20mg) 단독요법군 1,886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3년 동안 추적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일차 평가변수인 투여 후 3년 시점에서 심혈관계 사망, 주요 심혈관계 사건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의 발생은 병용요법군 172명(9.1%), 단독요법군 186명(9.9%)으로, 병용요법에서 단독요법에 준하는(비열등)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차 평가변수인 LDL-C 목표 수치(70 mg/dL 미만) 도달률은 1년 시점 병용요법군에서 73%, 단독요법군에서 55%로 18% 정도 차이를 보이면서, 로수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군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3년 시점에서 병용요법군은 각각 75%, 72%로 나타났고, 단독요법군은 60%, 58%로 관찰돼 LDL-C 목표 수치에 도달한 환자 비율이 모든 관찰 시점에서 병용요법군이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목표 수치보다 더 낮은 'LDL-C <55 mg/dL'에 도달한 환자 비율도 확인했는데, 병용요법군에서 1, 2, 3년 시점에 각각 42%, 45%, 42%로, 단독요법군에서 25%, 29%, 25%로 나타나면서 병용요법이 단독요법보다 LDL-C 감소 효과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관찰됐다. 이상 사례나 스타틴 불내성으로 연구 약물 복용을 중단하거나 용량을 감량한 환자 비율은 병용요법군에서 88명(4.8%), 단독 요법군에서 150명(8.2%)으로 관찰됐다.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병극 교수.

연구를 주도한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병극 교수는 "지금까지 용량을 줄인 스타틴·에제티미브 병용요법과 기존의 고용량 스타틴 단독요법을 비교한 1년 이상의 장기 추적 연구는 없었다"며 "이번 대규모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을 통해 ‘로수젯'으로 대표되는 스타틴+에제티미브 병용요법이 고용량 스타틴 단일제 대비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ASCVD 환자의 2차 합병증(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재발 등)을 막기 위한 표준 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며 “고용량스타틴 단일제‘보다 ‘중강도 스타틴+에제티미브’ 복합제가 LDL-C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리고 부작용도 적어 환자들에게 더욱 도움될 수 있다는 결과인 만큼 이상지질혈증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됐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에는 로수바스타틴와 에제티미브 복합제 외에도 아토르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등과 에제티미브 복합제도 판매되고 있다. 즉, RACING 연구결과를 ‘중저강도 스타틴+에제티미브’ 복합제의 ‘계열 효과’로 해석할 여지도 있는 상황.

이에 대해 김병극 교수는 'EBM(evidence based medicine)'을 언급하며 선을 그었다.

김 교수는 “시중에는 수많은 다른 종류의 스타틴이 나와 있고, 그 용량에 따라서도 효과나 LDL-C 저하 정도가 천별일률적”이라며 “때문에 에제티미브 병용 효과가 (다른 스타틴 복합제에도) 유사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에제티미브 복합제를 (로수젯의 효과와) 유사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있겠으나, 분명한 건 다른 복합제는 근거가 없다는 점”이라며 “임상적 아웃컴(out come)이 입증된 약제는 로수젯이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