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개발 혈압앱…식약처, "기존 자동전자혈압계와 비교해 정확도 충족"

삼성전자가 개발한 '혈압앱'이 모바일 앱을 활용해 혈압을 측정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oftware as a Medical Device, SaMD)로는 국내 최초로 지난 20일 허가를 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삼성전자 '혈압앱'은 커프(Cuff)를 팔에 착용하지 않고도 손목의 스마트워치(모바일플랫폼)를 이용해 혈압을 측정하고 사용자에게 심장의 수축기·확장기 혈압 및 맥박수를 알려준다.

스마트워치의 혈압앱을 작동시켜 광혈류측정(PPG) 방식으로 심장박동에 따른 혈액량 변화 측정하면, 스마트워치에 측정된 혈압값이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에 전송된다. 사용자는 스마트워치 또는 스마트폰앱에서 측정된 혈압값과 이전부터 저장된 이력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혈압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는 "특히, 이 혈압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 자동전자혈압계의 의료기기 성능기준인 혈압 및 맥박수 정확도 기준 등을 모두 충족했다"고 전했다.

한편, 식약처는 최첨단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제품 개발을 촉진하고자 올해 1월 모바일 앱 업체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실시해 국내외 제품 개발 동향, 규제 개선 필요사항 등을 청취한 바 있다.

그 결과 지난 2월 산업계 의견을 반영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기기·장치에 대한 허가없이 모바일 앱만 단독으로 허가받을 수 있도록 '모바일 의료용 앱 안전관리 지침'을 개정했다.

식약처는 "4차 산업시대를 맞아 모바일 플랫폼 기반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첨단 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가 신속히 제품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