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의연 PACEN, 관련 연구결과 발표
80세 이상은 ‘공유의사결정’ 권장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 연구결과 80세 이상 고령층의 위암과 대장암 '내시경 검진'은 효과가 불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청년의사).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 연구결과 80세 이상 고령층의 위암과 대장암 '내시경 검진'은 효과가 불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청년의사).

8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위암과 대장암 ‘내시경 검진’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PACEN)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효과와 비용효과에 근거한 위암 및 대장암 검진의 최적 연령 제안’ 연구결과를 16일 공개했다.

국가암검진사업에서는 대장암 검진의 경우 50세 이상에게 1~2년마다 분변잠혈검사를 실시하고 분별잠혈검사가 양성일 때 대장내시경을 권장하고 있다. 위암 검진의 경우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년마다 위내시경 또는 상부위장관조영검사를 시행하고 검진의 상한 연령에 대한 제한은 없다.

그러나 국내 학회의 검진 권고안에 따르면 대장암의 경우 81세 이상은 검진 효과를 뒷받침할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위암 또한 85세 이상은 위암 발생률이 낮고 검진으로 인해 사망할 수 있어 위암 검진을 권고하지 않는다.

이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김현수 교수팀은 PACEN 지원을 받아 고령자에서 위암, 대장암 내시경 검진의 적정성을 평가했다.

대장암 내시경 검진은 연구팀이 지난 2004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79세까지는 대장암 발생률이 30% 감소해 대장암 발생 억제 효과가 관찰됐으나 80세 이상에서는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다.

위암은 지난 2009년부터 2020년까지 국가암검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79세까지는 위암 사망률이 43% 감소한데 비해, 80세 이상에서는 위암 사망 억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상한 연령 확인을 위해 1세 단위로 분석하였을 때, 80세까지는 위암 사망 억제 효과가 관찰됐으나 81세 이상에서는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다.

이에 임상적 가치평가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80대 이상에서는 일률적으로 검진을 권고하기보다 개인의 건강 상태, 기대수명, 암 위험도 등을 고려해 검진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내시경 검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의료진이 충분히 상의하는 공유 의사결정(shared-decision making)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언급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