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빅데이터연구개발실 ’병원획득 폐렴 분석‘
장기입원 노인일수록 폐렴 발생 위험 더 높아져

병원 입원환자 100명에 1명꼴로 병원에서 ’폐렴‘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입원, 노인일수록 위험이 더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연구개발실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빅데이터 기반 병원획득 폐렴 분석 사례‘를 지난 24일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성과공유 심포지엄을 통해 발표했다.

빅데이터 기반 병원획득 폐렴 분석 사례는 공단 진료비청구자료를 활용해 2023년 병원획득 폐렴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2023년 발생한 1,265만6,490건의 입원 중 4일 이상 입원 548만9,733건(전체 입원의 43.4%)을 대상으로 병원획득 폐렴을 분석한 결과, 2023년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은 1.13%로 추정됐다. 이는 2021~2022년에 일시적으로 증가한 후 2023년에는 다소 감소했다.

2023년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은 요양기관종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요양병원이 5.04%로 가장 높았으며 ▲병원 0.80% ▲상급종합병원 0.57% ▲종합병원 0.45% ▲의원 0.18% ▲한방병원 0.05% 순이었다.

요양병원은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환경의 집단시설이며 입원 환자의 대부분이 감염에 취약한 노인이기 때문에 병원획득 폐렴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2023년 성별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은 남성 1.23%, 여성 1.04%로 남성의 발생률이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도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입원기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면 입원기간이 길수록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도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300일 이상 입원의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이 7.17%로 가장 높았다.

입원기간이 길어질수록 환자가 병원획득 폐렴에 노출될 위험성을 높여 환자의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공단 빅데이터연구개발실은 “2023년 입원으로 인한 병원 내 폐렴 발생은 100건당 1건 수준으로 추정됐고 요양병원의 발생률은 5.04%로 가장 높아 요양병원의 감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를 통해 입원기간이 길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의 입원으로 인한 폐렴 발생률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며 “병원 내 감염에 취약한 노인환자 등은 입원으로 인해 건강상태가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