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연구팀, 심평원 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주요 약물 부작용 데이터, 범국가적으로 체계화해야”
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강혜련 교수, 보라매병원 알레르기내과 양민석 교수, 공공의료사회공헌팀 이진용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 국제 학술지 ‘PLoS One’ 최근호에 게재했다.
스티븐스존슨증후군(SJS, Stevens-Johnson syndrome)과 독성표피괴사융해(TEN, toxic epidermal necrolysis)는 주로 약물부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 질환으로 처음에는 작은 물집으로 시작되지만, 심한 경우 전신 피부박탈을 일으킨다.
심각한 염증으로 각종 장기의 손상을 유발하기도 하며 사망률도 SJS는 10%, TEN는 30%에 이를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다.
연구팀은 2010~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이용해, 이 기간 중 국내 SJS과 TEN 환자 현황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해당 기간 동안 1,167명(SJS 938명, TEN 229명)이 두 질환을 새롭게 진단받았다. 평균적으로 매년 SJS는 234명, TEN은 57명씩 환자가 발생한 것이다.
환자는 여성(SJS 503명, TEN 111명)이 남성(SJS 435명, TEN 118명)보다, 40대 이상(SJS 608명, TEN 173명)이 40세 미만(SJS 330명, TEN 56명)보다 많았다.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가 약물의 사용빈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SJS 환자의 5.7%, TEN 환자의 15.1%는 입원 기간 중에 사망했고 환자가 생존하더라도 다양한 합병증을 겪게 됐다.
합병증으로는 시력손상(SJS 43.1%, TEN 43.4%)이 가장 흔했으며, 다음으로 요도손상(SJS 5.7%, TEN 9.7%) 순이었다. 피부와 손톱, 발톱 등에도 후유증이 있었다.
양민석 교수는 “국내에서도 매년 적지 않은 중증피부유해반응 환자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망 및 후유증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들 중증피부유해반응은 아직까지 뚜렷한 예방법이 없어 조기에 진단하고, 원인약제를 중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주요 원인약제들에 대한 정보를 범국가적으로 수집하고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혜련 교수는 “중증피부유해반응은 해당약제를 복용하는 대다수의 환자들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좋은 치료효과를 가진 약제들이 이런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며 “부작용이 어떤 사람에게서 높게 나타나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해, 고위험군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광석 기자
cks@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