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인구 20%가 65세 이상…초고령사회 진입
고령화에 따라 만성질환 유병률↑…노인 84% 만성질환 있어
“국립노화연구소로 만성 퇴행성 질환·노인 의료비 지출 줄여야”

오는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노화와 노인성 질병을 연구해 정책과 연계하는 가칭 ‘국립노화연구소’를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입법조사처 사회문화조사실 보건복지여성팀 원시연 입법조사관은 ‘초고령사회 대비 국립노화연구기관 설치 필요성과 과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2021 고령자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오는 2025년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75세 이상의 초고령 노인도 증가해 2040년에는 65세 이상 전체 노인 중 75세 이상 초고령 노인이 51.4%로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복합 만성질환의 유병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노인의 84%가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다. 초고령 노인만 따진다면 75~79세 노인의 61.4%, 80~84세 노인의 66.2%, 85세 이상 노인 중 73.1%가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다.

원 조사관은 “국가 차원에서 노화라는 질병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며 “노화와 연계된 노인성 질병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갖추어 나가는 것에서 출발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제도로 연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에서는 이미 국가가 주도하는 노인성 질병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원 조사관은 그 중 한 사례로 미국의 국립노화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ging, NIA)를 소개했다.

원 조사관은 "지난 1974년 설립된 미국 국립노화연구소에서는 의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진들이 노화와 관련된 질병이나 사회 행태 등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 종합 계획을 마련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해외의 국·공립 노화연구소는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해 관련 연구를 수행해왔다"며 "이를 근거로 노인건강 정보를 도출하고 보급하며 건강 관리 정책을 제시하는 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원 조사관은 우리나라도 국립노화연구소를 설립해 체계적인 노화 연구를 추진하고 노인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 조사관은 “노화에 대한 종적 관찰 연구를 통해 고령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고령사회의 만성 퇴행성 질환을 줄일 수 있다“며 “국가가 노화 관련 정책의 아젠다를 설정하고, 민·관에서 수행되는 연구를 총괄·기획·지원해 정책과 연계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인성 질병과 환자와 가족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지역사회 차원에서 관리가 가능한 제도적 방안과 연계한다면, 노인의 의료비 저하와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