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호 교수팀, 중증 저혈당-치매·사망 간 상관관계 밝혀
“고혈당 조절 못지 않게 저혈당도 관리해야”

세브란스병원 이용호 교수, 대구동산병원 한유진 교수.
세브란스병원 이용호 교수, 대구동산병원 한유진 교수.

당뇨병 환자가 중증 저혈당과 치매를 모두 앓으면 사망 위험도가 5.1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와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내분비내과 한유진 교수 연구팀은 2형 당뇨병 환자가 중증 저혈당으로 한 번이라도 치료받으면 치매와 사망 위험도가 각각 50%, 29% 올라간다고 밝혔다.

저혈당은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진 상태다. 대한당뇨병학회가 분류한 저혈당 단계 중 가장 위험한 수준인 중증 저혈당은 심하면 의식 소실과 사망으로 이어진다.

그동안 중증 저혈당이 심혈관 질병을 야기해 사망 위험도를 높인다고 알려졌지만, 중증 저혈당과 치매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연구팀은 중증 저혈당 환자가 치매와 사망으로 이어지는 케이스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자료를 이용해 2009년 치매가 없는 40세 이상의 2형 당뇨병 환자 200만여명을 대상으로 2006~2009년에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를 확인했다. 그 결과, 중증 저혈당으로 최소 1회 이상 치료받은 환자는 1만4,443명(0.7%)이었다.

이어서 2015년 12월까지 약 7년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환자들이 치매를 앓는 경우를 조사한 결과,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가 많을수록 치매 위험이 증가했다. 치매 발생 위험은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와 비교했을 때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8배 높았다.

치매 유형별로 알츠하이머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9배, 혈관성 치매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4배 각각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미만군에서 3.1배, 60세 이상군에서 1.6배 높았다.

2009년부터 치매가 있던 당뇨병 환자 중에서 2015년까지의 사망자를 확인한 결과, 사망자 수는 총 5만1,567명이었다. 사망 위험도는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 대비 1회 치료군에서 29%, 2회 치료군에서 35% 증가했다.

치매와 중증 저혈당에 따른 사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중증 저혈당 치료와 치매 진단을 받은 당뇨병 환자의 사망위험도는 두 질환이 없는 환자에 비해 5.1배 높았다. 중증 저혈당이 없는 치매 환자의 사망위험도는 2배, 중증 저혈당 치료를 받았지만 치매가 없는 환자의 사망위험도는 4.3배 높았다.

이용호 교수는 “당뇨병 환자는 고혈당 조절 못지않게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저혈당 고위험군 중 환자별로 혈당 조절 목표를 설정해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