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학회, 기자간담회 열고 새정부에 정책 수립 촉구
"노인 보청기 지원사업 확대도 필요" 강조

국민 귀 건강 지킴이들이 새 정부에 ‘생애 전환기 난청검진사업’과 ‘올바른 노인 보청기 지원 정책 수립’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한이과학회는 지난 2일 ‘제64차 대한이과학회 학술대회’에서 기자간담회에서 국가 주도 생애 전주기 국민 건강 맞춤 돌봄 서비스의 일환으로 생애 전환기 난청검진사업 및 노인 보청기 지원 정책 수립을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학회는 특히 난청과 치매 사이의 과학적인 관련성이 검증됐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노인 인구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난청 환자 관리를 통해 노인들의 사회경제 활동을 돕고 더불어 인지기능 저하, 치매 인구를 줄여 가정 및 사회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학회는 이날 2018년 JAMA 학술지에 보고된 연구 등을 인용해, 노화로 인한 청력 손실이 인지 저하, 인지장애 및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활용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학회에 따르면, 12개국 30여개의 난청과 인지 저하와 관련된 논문들을 메타 분석한 연구에서 난청이 인지기능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또 미국 존스홉킨스의대와 국립노화연구소가 639명을 대상으로 청력검사와 인지기능검사를 실시하며 평균 12년 동안 관찰한 결과, 청력이 정상인 경우에 비해 치매발생률이 경도 난청(26~40dB)은 1.89배, 중등도 난청(41~70dB)은 3배, 71dB이상의 고도 난청은 4.94배 각각 높았다.

지난해 발표된 대한민국 국민건강영양 조사에서도 난청과 인지기능의 연관성이 보고됐다. 66세의 생애 전환기를 맞은 노인 약 180만명 중 양측 청력 저하 대상자는 3.4%, 일측 청력 저하는 5.84%, 인기 기능저하 고위험군은 13% 이상이었다. 결과적으로 양측 난청이 진행된 경우 한쪽 난청이 있는 대상자들에 비해 인지 기능 저하의 위험도가 높았음을 확인했다.

학회는 “인지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저하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외부 자극이 대뇌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외부의 적절한 청각 자극 및 정보가 중추신경계에 전달되고 통합이 돼야 인지 기능 및 판단력이 유지된다. 이 시기에 정확하고 적절한 청각 정보를 받아들이지 못하면 인지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청력저하가 치매를 초래한다는 유력한 가설로 제시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또한 최근 연구들을 통해 보청기 착용 여부가 난청이 있는 사람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학회에 따르면, 2010~2012년도에 조사된 전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 보청기가 필요한 40dB 이상 중등도 난청의 유병률은 60대에서 11.88%, 70대에서 26.26%, 80대 이상에서 52.83%로, 65세 이상 인구에서의 평균 중등도 난청(40dB 이상) 유병률은 약 20-25%로 추정된다. 이러한 난청 유병률과 인구통계치를 통해 추정해보면 현재 중등도 난청 (40-59dB)으로 보청기가 필요하지만, 장애 판정을 받지 못해 보청기 구입시 급여 지원을 받지 못하는 인구는 국내에서 약 130만명 정도다.

이에 학회는 “해당 인구에서 보청기 구매 시 급여 적용이 일정 부분이라도 확대된다면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년층에서 난청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치매를 포함해 난청 이후 병발하는 다른 질환으로 이환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난청 노인에서의 보청기지원 제도가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약자인 노인을 위한 대표적인 사회보장 제도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예산은 연 200억~400억원 정도로 추산했다.

학회는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대한이비인후과 의사회와 함께 생애전주기 국민건강 맞춤 돌봄 서비스에 생애 전환기 난청 검진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보청기 급여화를 통한 노인 인구의 보청기 처방과 맞춤 과정에 대한 국가의 적절한 지원을 통해 국민 귀 건강 관련 ‘생애 전주기 난청 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며 “이같읕 정책이 수립된다면, 세계 최고 수준의 난청 관리 체계를 지닌 국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