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골대사학회 ‘대한민국 노인 골절 예방 2025 로드맵’ 제시
춘계학술대회서 ”정부 주도 캠페인·골밀도 검사 확대” 제안

대한골대사학회가 2025년 초고령사회를 맞아 골다공증 골절의 심각성을 알리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대한골대사학회가 제33차 춘계학술대회에서 ‘2025년 초고령사회에서의 골다공증 골절 예방’을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대한골대사학회가 제33차 춘계학술대회에서 ‘2025년 초고령사회에서의 골다공증 골절 예방’을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골대사학회는 지난 3일 제33차 춘계학술대회 보험·정책 세션에서 ‘2025년 초고령사회에서의 골다공증 골절 예방’을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대한민국은 2025년 65세 이상 노인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이에 골대사학회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위험도가 늘어나는 골다공증 골절 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안했다.

골대사학회가 제안한 3대 정책 개선과제는 ▲대국민 질환 인식 개선 및 조기 진단·관리 강화 ▲골다공증 약제 급여기준 개선 및 치료 선진화 ▲전주기적 노인 골절 예방 관리체계 구축 등이다.

구체적으로 조기 관리를 위해선 정부 주도의 대국민 질환 캠페인 추진과 국가건강검진 내 골밀도 검사 강화가, 약제 급여 측면에선 골밀도 수치(T-score) -2.5 초과 시 급여중단 개선, 골절 초고위험군의 순차치료 보장이 실천방안으로 제시됐다.

또 노인골절 예방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골절 및 골다공증 질환관리 5개년 종합계획 수립과 재골절 예방 서비스 시범사업 추진이 실천방안으로 제시됐다.

대한골대사학회가 제33차 춘계학술대회에서 ‘2025년 초고령사회에서의 골다공증 골절 예방’을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골대사학회 역학이사 김하영 교수(강릉아산병원 내분비내과)는 골다공증 골절 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골밀도 검사와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골다공증 골절 위험이 증가함에도 70세 이상 연령층의 골밀도 검사율은 다른 연령층 대비 크게 낮다”며 “병원에서 자비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70세 이상 연령층은 20%에 불과하다. 특히 남성은 여성보다 골다공증 진단과 치료에 관심이 낮아 10%도 채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골대사학회에서 50~70대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식조사에 따르면 많은 응답자들이 아프지 않아서 검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며 “이는 국가적인 집단 검진(screening)이 필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가건강검진으로 만 54세 여성과 만 66세 여성을 대상으로 총 2회의 골밀도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이에 김 교수는 “국가건강검진으로 골밀도 검사를 진행하면 수검률이 60%를 넘어가는 등 효과가 좋다”면서도 “국가건강검진 내 골밀도 검사는 일부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당뇨병 검사 결과는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실제 수치를 함께 제공한다. 그러나 골밀도 검사 결과는 실제 수치를 주지 않고 정상 여부만을 알려줘 의료진이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없고, 환자 또한 자신의 상태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 골다공증 환자에게 질환의 심각성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함에도, 병원에 내원한 일부 환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하고 있었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먼저 보건복지부와 유관 학회, 지방자치단체의 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의 골다공증 골절 인지도를 높이는 게 우선”이라며 “다음으로 국가건강검진의 골밀도 검사도 보다 효율적인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국가건강검진에서 여성의 골밀도 검사를 만 54세부터 만 66세까지 총 4회(만 54세, 58세, 62세, 66세)로 확대하고, 여성과 마찬가지로 골절 위험이 높은 70세 이상 남성에게도 검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며 “검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척추, 대퇴골을 모두 측정하기를 추천한다”고도 했다.

또한 골다공증 골절 전 예방 뿐만 아니라 골절 환자의 재골절을 막기 위한 전략도 제시됐다.

골대사학회 FLS(Fracture Liaison Services, 재골절 예방 서비스) 연구이사 하용찬 교수는 “최근 골대사학회에서 재골절을 연구한 결과, 1차 골절이 발생한 환자의 사망률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생존한 골절 환자에게 재골절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최초 골절 발생 후 적절한 골다공증 치료를 받지 않으면 2차, 3차 골절 위험이 높아진다”며 “노인 골절 환자의 재골절 예방을 위해 한국형 재골절 예방 서비스 시범사업을 시행하자”고 제안했다.

또 하 교수는 “골다공증 환자와 골절 환자의 발견과 지속적인 치료, 재골절 예방 서비스 도입 등 전주기적 골다공증 골절 통합 예방 시스템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