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꾸준히 ‘집단면역≠코로나19 퇴치’ 지적
이재갑 교수 “70% 접종률로 중증환자·사망자 감소” 강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면역 형성을 두고 뒤늦게 불필요한 논란이 생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집단면역에 대한 논란은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지난 3일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시작됐다. 오명돈 위원장(서울대병원 감염내과)은 이날 “인구의 70%가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집단면역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 토착화로 독감처럼 함께 살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 위원장의 발언은 그동안 전문가들이 지적해 온 내용과 궤를 같이한다. 하지만 정부가 오는 11월 집단면역 목표를 강조하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독려해 온 터라 중앙임상위의 입장은 뒤늦게 논란이 됐다.

급기야 방역 당국이 나서 집단면역 형성 목표가 일상생활 회복에 있다고 해명해야 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지난 4일 “바이러스 퇴치 목표는 애당초 생각하지 않은 부분이다. 정부에서 목표로 한 것은 일상생활 회복”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청도 “집단면역 달성이 어려워 백신 접종이 의미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집단면역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같은 (상태로의) ‘근절’은 어려우며 인플루엔자처럼 관리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집단면역 논란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했다.

이 교수는 7일 청년의사 유튜브 방송 ‘코로나 파이터스 라이브’(코파라)에 출연해 “오 위원장이 말한 부분은 감염병 전문가들은 다 했던 얘기다. 그런데 ‘집단면역 불가능’이라고 보도되니 ‘백신은 왜 맞나’로까지 비약되더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교수는 “인구의 70%가 백신을 접종했을 때 제일 기대되는 부분은 중증 환자와 사망자 감소다. 그리고 지금보다 코로나19 유행 자체가 완화될 것”이라며 “이스라엘이나 영국처럼 하루 10만명, 1만명씩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던 국가에서 백신 접종률이 60%를 넘어가면서 확진자가 급감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집단면역이 달성되면 코로나19 확진자가 0명이 되겠는가. 그렇지 않다. 200~300명은 계속 나올 것이다.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도 있고 18세 미만은 접종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그래도 중증 환자나 사망자가 줄어 조금은 덜 위험한 병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어 “모든 감염병은 2~3년에 한 번씩 유행한다. 집단면역이 떨어지는 시기가 오기 때문이다. 이런 영향으로 (코로나19도) 2~3년에 한 번씩 유행하는 패턴으로 갈 수 있다”며 “종식은 심리적 종식이다. 백신을 맞으면 덜 위험하고 일상생활은 할 수 있다는 게 집단면역”이라고 말했다.

언론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 우려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했다. 백신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는데도 앞다퉈 부작용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앞으로도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뉴스는 계속 나올 것이다. 한 번 부각되면 계속 기사화되고 사람들에게 재각인된다”며 “화이자 백신은 그런 적이 별로 없다보니 (이상반응) 기사가 나와도 사람들이 그럴 수 있다고 넘기는 반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거봐라’, ‘또 그러네’라는 반응이 나온다. 이런 분위기를 조장하는데 언론이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