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섭의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청년의사 신문 최윤섭] 보건복지부가 2016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필자에게 특히 관심이 갔던 것은 “바이오헬스 분야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여 일자리를 확대한다”는 것이 골자인 바이오헬스 계획이었다. 이 분야에 대해서 한국 의료의 세계적 브랜드화, ICT 융합 기반 의료서비스 창출, 제약/의료기기 산업 미래 먹거리로 구성의 세가지 중점계획을 발표했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국내에 처음 소개한 사람 중의 한 명인 필자는, 업무 보고에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표현이 들어간 것 자체를 고무적으로 생각한다. 예전의 유헬스 같이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표현이 아니라 말이다. 하지만 우려되는 것은 복지부 보고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 원격의료’라는 의미로 오용되었다는 점이다. 필자가 원격의료 관련 질문을 받을 때마다 언급하는 부분이지만, 디지털 헬스케어는 원격의료와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원격의료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수많은 하위 분야 중 하나이다.

여전히 의료계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히고 있는 원격의료를 정부에서 강경하게 추진하는 것도 우려스럽지만, 원격의료의 위험성 논란이나 효용성 이슈는 차치하고서라도,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광범위한 용어 자체에 대한 잘못된 사용은 이 분야 전체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

또한 “한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세계로 나아가겠습니다”와 같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허황된 구호는 헛웃음만 나오게 한다. 현재 한국은 글로벌 기준에서 이미 골든타임을 놓쳤으며, 국내에서 나온 글로벌 수준의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과 성공 사례는 거의 없다. 미래 의료에 대해서 “글로벌 강자가 없어 시장 선점 가능”하다고 언급했지만, 글로벌 강자는 많이 존재하며 이미 시장은 선점 당했다.

오히려 혁신을 방해하는 비합리적인 규제, 의료 전달 체계와 의료 수가 등 국내 의료 시스템이 갖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복지부의 역할이 아닐까. 또한 정말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꾀한다면 원격의료의 무리한 추진보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센서, 클라우드 등의 디지털 기술 (자칭 IT 강국인 한국이 모두 세계적으로 뒤쳐진 분야들이다)의 발전과 의료 분야의 융합을 꾀하는 것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이미 한국은 많이 늦었지만, 그렇다고 이대로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현재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를 냉정하게 파악하고 지금부터라도 근본적인 문제부터 차근차근 해결해나가는 것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