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주 교수, "美 PHEMCE와 같은 공중보건위기대응기구 필요" 강조

[청년의사 신문 이혜선] "한국도 미국의 PHEMCE(Public Health Emergency Medical Countermeasures Enterprise)와 같은 보건안보위기대응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가 올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으로 신종감염병에 대한 위기의식이 높아진 만큼 다가올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해 보건안보위기대응 컨트롤타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가 1일 개최한 '2015 바이오의약품 글로벌성장 정책포럼'에 참석, "신종감염병이 빠르게 전파되고 큰 규모로 확산되는 등 예측불가능한 상황이다. 평시 공중보건위기에 대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법, 규정 등이 미리 마련돼 평소에도 훈련이 돼 있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이번 메르스 사태 때 보건복지부 상황실에 있어보니 공무원들이 무척 바쁘게 움직였지만,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느꼈다"면서 "(감염병의 특성상) 즉각적으로 진단하고 빨리 (후속조치를)해야 하는데도 결재를 받고 있었다"고 했다.

이어 "(함께 일하면서)공무원들의 고충을 이해할 수 있었지만 만약 신종감염병 위기대응 프로세스가 법으로 규정돼 있고 평상시에 (공무원들이)훈련이 돼 있었다면 일사천리로 진행됐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다.

때문에 국가적 위기상황을 전담할 컨트롤타워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위기가 닥쳤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법규정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관련 법규정을 마련해 놓고, 평상시 훈련을 통해 법규정 및 위기대응 프로세스를 익숙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미국은 2009년 신종플루 사태 이후, 공중보건위기에 대응하는 의료대응기구를 만들었다. 보건후생부가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을 위한 차관보를 두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 상황에 따라 보건후생부, CDC, NIH 등이 각각의 역할을 하도록 했다"며 "미국은 평상시에도 탄저균, 신종감염병, 다제내성세균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대응훈련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과거와 달리 신종감염병이 더 빠르게, 예기치 않은 곳에서 큰 규모로 나타나고 있다며 우려하기도 했다.

인구밀도가 늘고, 국제 여행객수가 늘고 있으며 이제 3일이면 전 세계를 한 바퀴 돌 수 있을 정도로 항공이 발달하면서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이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라는 것이다.

또 메르스 사태에서도 겪었듯이 같은 신종감염병이라도 해당 국가의 의료생태계와 엮이면 어떤 파급력을 가져올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신종감염병의 전파력, 치사율, 피해는 예측 불가다. 복지부든 국민안전처든, 다부처와 민간 간에 논의를 하든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위기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며 "공중보건위기상황은 보건의료계뿐만 아니라 전 사회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민간과 공공이 협력해야 하고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비를 잘하면 대응도 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