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부터 선택진료의사 감축…병원들, 경영 타격 최소화 방안 마련

[청년의사 신문 송수연] 정부의 선택진료제도 개선에 따라 오는 9월부터 선택진료의사 비율을 80%에서 67%로 줄여야 하는 의료기관들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육지책을 마련했다.

대부분 선택진료 수입이 적은 의사들을 위주로 축소했지만 그 과정에서 내부 진통도 겪고 있다.

A대학병원은 기존 선택진료의사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수입을 분석해 선택진료 지정을 취소했을 경우 타격이 적은 의사들을 대상에서 제외했다. 선택진료 수입이 많은 의사들 위주로 지정해 경영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보직을 맡고 있는 교수들이 선택진료에서 빠지는 경우도 생겼다고 한다.

A대학병원 교수는 “선택진료를 비선택으로 돌렸을 때 감소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등수를 매겨 잘랐다”며 “그렇게 했더니 모 진료과는 과장이 선택진료에서 빠지게 되더라. 수술을 많이 하고 입원환자를 많이 보는 의사들이 아무래도 선택진료 수입도 많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B대학병원도 마찬가지다. B대학병원 교수는 “병원들 대부분이 수익을 기준으로 선택진료의사를 잘랐을 것이다. 우리 병원도 마찬가지”라며 “그나마 선택진료 수입을 다른 의사들과 나누기로 해 반발이 적었다”고 했다.

선택진료를 인센티브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전제 하에 선택진료의사 비율을 조정한 병원도 있었다.

C대학병원 교수는 “병원 측에서 선택진료 수입이 누가 많은지 등에 대한 자료를 일차로 각 진료과에 줬다”며 “선택진료의사를 무조건 줄여야 하는 상황이어서 대부분 매출이 적은 사람 순으로 제외했다”고 말했다.

그는 “선택진료 수입을 인센티브에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수입이 줄어도 월급에는 영향을 주지 않겠다는 약속을 해서 그나마 진통이 없었다”고 했다.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은 경력을 기준으로 선택진료의사 비율을 조정했다.

서울대병원은 오병희 병원장과 김희중 부원장, 정진호 기획조정실장, 신찬수 의료혁신실장 등이 선택진료의사에서 빠졌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경력을 기준으로 선택진료의사를 지정하긴 했지만 일부 보직자들은 스스로 선택진료를 빼기도 했다”며 “국립대병원은 임상교원까지 선택진료가 적용되는 만큼 비전임교원에 대한 문제는 없었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도 서울대병원과 마찬가지로 경력 순으로 선택진료의사를 지정했으며 퇴임을 앞둔 교수나 보직자 등은 스스로 선택진료를 포기했다.

특히 사립대병원들은 논란이 됐던 비전임 임상교수의 선택진료의사 지정 문제가 1년 유예된 것에 안도하는 분위기다. 복지부는 최근 임상교수의 선택진료를 1년 동안 한시적으로 허용하기로 했다.

한 사립대병원 관계자는 “교직원이 아닌 임상교수들에 대한 문제는 1년이라는 유예기간을 얻어 그나마 혼란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남은 1년 동안 준비할 계획”이라며 “하지만 1년 후에도 발등에 떨어진 불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