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진료비 지급자료 분석결과…진료비 2286억원으로 6.2%씩 증가

[청년의사 신문 양금덕]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7월이면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으로 고생하는 환자가 더욱 많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진료인원은 2013년에만 479만1,502명에 달했다.

이는 2009년 391만1,866명 이후 매년 5.2%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성별로는 여성이 2013년 282만6,502명으로 남성 196만5,000명보다 많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5.5%로 여성 5.0%보다 높다.

특히 알레스기성 접촉피부염은 1년 중 7월과 8월에 진료인원이 가장 많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평균 진료인원을 보면 7월은 68만4,825명이고 8월은 71만233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1월은 42만4,131명, 2월은 40만9,477명 수준에 그쳤다.


이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야외활동이 늘어나고 노출이 많은 옷을 입거나 원인물질에 노출됐을 경우, 땀이 나면서 원인 물질이 배어나와 피부와의 노출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질환이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확실하지는 않으나 여성이 화장품이나 귀걸이, 목걸이 같은 장식품을 많이 사용하고 남성보다 노출이 많은 옷을 입기 때문에 원인물질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서다"라고 설명했다.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으로 인한 진료비는 2009년 1,794억원에서 2013년 2,286억원으로 연평균 6.2%씩 증가하고 있다. 이중 급여비도 2009년 1,285억원에서 2013년 1,653억원으로 연평균 6.5%씩 늘고 있다.


접촉피부염은 외부 물질과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염으로,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의 원인물질인 항원과 알레르기 항원은 정상인에게는 피부병을 일으키지 않으나 이 물질에 민감화된 사람에게는 예외적으로 나타난다.

이 질환은 피부병변이 주요 원인 물질과 접촉한 부위에 발생하는 특징이 있는데, 주로 가려움이 있는 붉은 반점이나 구진이 발생하며, 급성인 경우 물집이나 진물이 나기도 한다.

조남준 교수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의 가장 좋은 치료는 원인물질을 확인하고 원인물질과의 접촉을 막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원인 물질을 알기 위해 알레르기 검사나 첩포검사 등을 통해 원인물질을 확인 하는 것이 중요하나 검사를 해도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덧붙였다.

때문에 "일단 접촉피부염이 발생하면 대증 치료를 주로 하고 급성기나 광범위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의 전신 투여를 국소도포 치료와 병행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