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경영 의미 퇴색…리베이트 과징금 및 세금 추징 등으로 실적 염려


[청년의사 신문 이혜선]

제약업계가 검찰의 고대 안산병원 불법리베이트 조사, 국세청의 제약사 세무조사 등으로 좌불안석이다.

올해 제약업계가 대대적으로 기업윤리헌장을 선포하며 윤리경영에 박차를 가하던 터라 후폭풍을 걱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 10월 21일 서울서부지검 정부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수사단은 불법 리베이트 정황을 포착하고 고대 안산병원 호흡기내과 소속 한 의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현재 검찰은 압수물을 통해 관계자 대질심문 및 증거를 수집하고 있는 중이다.

이번 리베이트 건에는 다국적 제약사를 포함해 총 6곳이 연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국내 유명 제약사 3곳은 리베이트 금액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제약사 중에는 최근 적극적으로 영업마케팅을 펼치며 세를 확장해가고 있는 곳과 이미 리베이트 건으로 처분을 받았던 곳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주 안으로 검찰에서 결과가 발표될 것이라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발표까지는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제약업계를 불편하게 하는 일은 또 있다. 바로 국세청의 세무조사다. 최근 국세청은 모 제약사에 세무조사를 실시한 상태이며 국내 제약사 100여곳에 4년간 구매한 상품권의 사용내역을 밝히라고 통보한 상태다.

상품권은 현금성이 짙고 현금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리베이트로 활용돼 왔다. 지난해에는 모 제약사 직원이 수천만원의 상품권이 든 가방을 잃어버렸다 되찾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상품권의 용도에 이목이 쏠리기도 했다.

제약사들은 4년간의 상품권사용내역을 소명하지 못할 경우 상품권 구매금액의 38%가량을 세금으로 납부해야 해 실적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국세청의 세무조사 결과에 따라 내년도 영업을 시작하는 동시에 추징금으로 인한 영업손실을 안고 가야 하는 게 문제다. 과거 사례를 보면 세무조사를 받고 추징금을 납부했던 동아제약이나 대웅제약은 추징금을 납부한 해당분기 실적이 좋지 않았다.

여기에 주주들을 관리하는 것도 문제다. 최근 언론에서 연이어 세무조사 건에 대해 보도하자, 세무조사 대상자로 이름이 거론된 제약사의 주주들이 세무조사가 사실인지,리베이트를 했는지, 예상 추징금액은 얼마인지를 확인하는 전화도 온다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고대 건과 상품권 조사 모두 제약사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발표가 언제 날 지 모르겠지만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