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사 신문 박기택] ‘제네릭 의약품은 꼭 필요하다’는 말에 토를 다는 이들은 없을 것이다. 오리지널의약품과 효과는 동등하면서 값은 싼 약을 누가 마다하겠나. 게다가 오리지널은 태반이 수입제품기도 한데 말이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우리나라에서 제네릭에 대한 평판은 썩 좋지 않다. ‘밀가루약’이란 오명은 벗어 던졌지만, 여전히 ‘카피약’, ‘복제약’ 등으로 불리며 소위 시장 가판대 물건과 같은 이미지가 팽배하다. 2006년 발생한 생물학적동등성시험 조작 파문이 결정적이었지만, 지난해 발생한 한국웨일즈제약의 의약품 유통기한 조작 사건 등 잊을만하면 터져나오는 사건들도 한몫하고 있다.

정리하면, 현재 우리는 제네릭이 필요한 게 아니라, ‘믿을 수 있는 제네릭’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추진 중인 ‘유통 중인 제네릭의약품의 동등성 모니터링 사업’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 사업은 정부가 유통 중인 특정 제네릭 제품을 수거해 오리지널과의 효과가 동등한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으로, 말 그대로 제네릭을 믿고 써도 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사업이다. 식약처는 관련 사업에 5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놓고,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수립 중이다. 또 형평성을 고려해 오리지널 또한 비교할 예정이다.

혹자는 유통 중인 약을 모아 재검사하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한 일이냐고 통박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 사업이 제대로만 운영된다면, 국산 제네릭의 인식 개선은 물론 품질향상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약의 품질이 허가 전과 후가 다르다는 말은 해당 제약사의 전체 제조공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고, 이는 곧 제약사의 신뢰도에 직격탄이 될 것이다. 어느 누가 약을 복불복으로 먹고 싶겠는가. 당연히 제약사들은 보다 품질관리에 신경을 쓸 것이고 이런 품질관리는 자연스레 제네릭 인지도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다만, 이 사업이 의도한 대로 성공하려면 투명성과 신뢰도가 담보돼야 한다. 행여나 대상선정이나 진행과정에 의심을 갖지 않게끔 투명해야 할 것이며, 사업 결과를 누구나 인정할 수 있도록 꼼꼼한 연구 디자인과 과학적 방법이 적용돼야 할 것이다.

만일 특정 제약사의 제품은 배제된다거나 사업대상을 예고하는 등 꼼수 또는 허술한 운영이 엿보인다면, 도리어 “역시 제네릭은 믿을게 못돼”라는 말만 나올 것이다.

식약처가 진정 제네릭 인식 개선을 위한다면 이를 꼭 염두에 둬야 하겠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