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시범사업 종료 후 결과 분석평가해 가이드라인 제정 예정


[청년의사 신문 이혜선]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 교류를 위한 표준 및 보안 가이드라인이 올 하반기에 마련될 예정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4일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에서 '의료-IT 융합을 향한 진료정보교류활성화 공청회'를 개최했다.

진흥원은 지난 2012년부터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컨소시엄(분당서울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 이지케어텍(주), (주)드림시큐리티)을 구축하고 시범사업을 실시해오고 있다.

2012년 12월부터 2013년 6월까지 1차 시범사업이 진행됐으며 2013년 10월부터 올해 5월 27일까지 2차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다.

진흥원은 시범사업을 통해 나온 결과물을 분석해 진료정보 교류를 위한 표준 및 보안가이드라인과 EMR/EHR 시스템의 기능성·상호운용성·보안성 인증기준 가이드라인을 올 하반기에는 제시할 예정이다.

실제 시범사업을 진행한 분당서울대병원 황희 교수는 "의료-IT융합사업을 시행하는데 있어 용어나 서식, 교류항목이 표준화 돼 있지 않다는 점이나 다른 의료기관 간 인터페이스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료진이나 환자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인증시스템도 없는 상태"라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같은 문제점 등을 고려해 총 4개의 시나리오를 복지부에 제출했다.

1안은 모든 정보를 중앙 서버에서 통합 관리하는 형태, 2안은 중요 구성정보(Registry)는 중앙서버에 두되 각 기관별 등으로 묶어 별도의 저장소를 만드는 형태, 3안은 중요 구성정보도 저장소도 분산하는 형태, 4안은 각 협력의료기관끼리 정보를 교류하는 형태이다.

황희 교수는 "시범사업 결과 총 4개의 시나리오를 복지부에 제출했는데 연구팀은 2안을 추천했다"며 가이드라인에 대한 방향을 어느 정도 제시했다.


연구팀이 제시한 2안은 진료정보를 저장하는데 있어 중요 레지스트리만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각각의 정보는 각 병원에서 데이터를 불러들이는 방식이다. 중앙 서버에 모든 것을 저장하는 방식은 관리는 용이하지만 보안 이슈가 발생하면 실패한 모델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어느정도 보완한 것이 레지스트리만 중앙 서버에 놓고 각각의 정보를 각 병원에서 보는 방식이다. 또한 캐나다, 영국 등도 가장 선호한 모델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황 교수는 "시범사업을 하면서 계속 이야기한 문제는 어느 한쪽이 손해를 보는 구조면 곤란하다는 것"이라며 "1차 시범사업 결과를 본 후 적절한 인센티브 없이는 이 사업이 힘들 수도 있다고 제언했다"고 덧붙였다.

진흥원 박정선 팀장은 "제도화 이후 실제 사용 가능한 교육 교재와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는 중이며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목표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04년 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이 '진료정보 전송 및 전자의무기록 보안 표준' 사업을 추진했었으나 별 성과 없이 끝난 바 있다. 의료기관 간 정보교류 사업은 10년 만에 추진되는 정보화 사업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