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도 사과했는데…의료대란 실무책임자 박민수 석고대죄하라”

충남도의사회 “의료계 조롱하며 나라 쑥대밭 만들어” 비판

2025-08-06     송수연 기자
충청남도의사회는 박민수 전 보건복지부 제2차관에게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사진출처: 보건복지부).

의정 갈등이 수습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의료계 내에서 박민수 전 보건복지부 제2차관의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박 전 차관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이라는 사상 초유의 국정농단을 일으킨 실무책임자”라는 것이다.

충청남도의사회는 6일 성명서를 내고 전공의와 의대생들에게 대국민 사과를 요구할 것이 아니라 “의료대란과 교육대란의 실무책임자인 박 전 차관이 국민 앞에 석고대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남도의사회는 “박 전 차관은 의료대란 요소요소마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의료계를 지속적으로 조롱하는 등 의료계와 정부가 상호 신뢰하기 어렵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박 전 차관이 일으킨 설화 사례들을 나열했다.

박 전 차관이 공식 브리핑에서 의사를 ‘의새’라고 하거나 해부실습용 카데바가 부족하면 “수입도 고려할 수 있다”고 한 부분을 대표적으로 꼽혔다. “의사가 하나도 현장에 남아 있지 않다면 전세기를 내서라도 환자를 실어 날라 치료하겠다”고 하거나 의대 증원 근거로 “남성과 여성 의사의 근로시간 차이” 등을 제시한 부분도 논란이 됐다. “환자 본인이 전화할 수 있으면 경증”이라고 한 발언도 충남도의사회는 “어처구니없는 망언”이라고 비판했다.

충남도의사회는 “의료계를 조롱했던 박 전 차관이 벌인 초유의 의료대란은 최소 수천명 이상의 초과 사망자를 발생시킨 대참사로 기록되고 있다”며 “국민 혈세는 이미 수조원 이상 낭비됐고 전공의와 학생들은 평생 잊지 못할 충격과 절망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충남도의사회는 “국민과 의사 간 불신의 벽을 더 높이 쌓아 올린 것은 덤”이라며 “사실상 피해자인 전공의와 일부 의대생들도 국민 앞에 사과와 유감을 표명하는데 막상 이 사태의 실질적 책임자들은 아직 묵묵부답”이라고 했다.

이어 박 전 차관이 지난해 3월 브리핑에서 “결과가 좋든 나쁘든 모든 책임은 장·차관이 진다”고 한 부분을 거론하며 “나라 전체를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은 책임을 이제는 져야 하는 것이 당연한 순리 아니냐. 사퇴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충남도의사회는 박 전 차관이 의료계를 붕괴시키고, 전공의와 의대생의 교육 기회를 무너뜨리고, 의사를 악마화해 신뢰를 무너뜨린 죄가 있다며 “박 전 차관은 국민 앞에 엎드려 사죄하고 지난 과오를 모두 실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의료대란 추진 과정의 얼개를 명명백백 공개하라”며 향후 “보건 관련 직책을 일체 회피”하고 “의료계를 향한 수없는 망언에 진심으로 사과하고 마지막까지 참회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