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3% “공공의대 설립 찬성…착한 적자 정부 책임”
의료 인력 불균형 해소, 의대 증원 등 우선 수행 꼽아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 국민 83%가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여론조사전문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 1일부터 2일까지 실시한 ‘보건의료 인력 확충과 새 정부 정책과제에 대한 국민여론조사’를 발표하며 의사 인력 증원이 필요하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조사 결과, 보건의료 인력 정책에 관해 지역 불균형 해소, 의사 인력 증원, 근무 환경과 처우 개선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병원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로 지역 간 의료 인력 불균형 해소(39.5%), 의대 정원 확대 등 의사 인력 증원(36.3%), 간호사·간호조무사·의료기사 등 의료진 근무 환경 및 처우 개선(21.5%)을 꼽았다. 특히, 서울 지역은 34.0%가 의사 인력 증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의사 인력 확충과 양성 시스템 개선을 위해 공공의대를 설립하는 것에 대해서 83.1%가 찬성했다. 정부가 공공병원 의사 인력 부족과 재정 문제(착한 적자)를 책임져야한다는 의견에도 83.1%가 동의했다. 이는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정부의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라는 게 보건의료노조의 설명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코로나19 최전선에서 국민의 생명을 지켰던 공공병원들이 의사 인력 부족과 착한 적자로 인해 진료 붕괴, 임금체불 위기에 내몰려 있다”며 “새 정부는 단기적인 대책이 아니라, 공공병원의 의사 인력 확충과 착한 적자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의사 인력 확충을 위해 공공의대 신설을 공약한 바 있다. 당시 인천·전북·전남 지역에 공공의대 설립, 경북 지역 의대 설립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