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협 "PA 병원 연수제? 값싼 대체 인력으로 격하시켜"
정부 입법예고 앞두고 진료지원 교육 주체로 갈등 계속 간협 "간호 교육 전문성 독보적…병원이 대신 못해 "
진료지원(PA) 간호사 교육과 자격 관리 권한을 두고 의료계와 간호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오는 7월 PA 교육 방안 등을 담은 진료지원업무 수행규칙안을 입법예고할 방침이다. 여러 단체가 참여해 교육 표준안을 만든 뒤, 위탁기관을 선정해 교육하는 방식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같은 정부안에 대한종합병원협회는 '병원 연수제' 도입을 제안했다. 병원 감독 하에 법정 기한 PA 교육을 이수하면, 해당 병원에서 연수증을 발급해 업무 자격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종합병원협회는 지난 23일 성명에서 "PA 양성이 특정 단체가 관리하는 자격증 제도가 되면, 병원은 제때 필요한 PA를 수급하기 어려워 진료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면서 "진료 행위가 이뤄지는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 현장에서 연수를 받고, 병원이 발급한 연수증만 있으면 진료지원 업무가 가능해야 한다"고 했다.
간호계는 '전담간호사' 전문성을 무시하고 단순 대체인력으로 다루려 한다며 반발했다.
대한간호협회는 지난 25일 성명에서 종합병원협회 주장은 "탁상공론이자 무책임한 발상"이라며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병원 연수제야말로 간호사 전문성과 교육 질을 해친다면서, 간협이 교육과 자격 관리를 맡아야 한다고 했다.
간협은 "간협의 간호 교육 전문성과 전통은 병원이 함부로 대체할 수 없는 독보적인 영역이다. 간협은 간호사 업무 특성과 전문성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다"면서 "교육 질 확보와 자격 관리의 투명성을 보장하려면 간협이 전담간호사 교육을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렇지 않고 병원이 자격 인증 기관이 되면 "공정성과 객관성을 심각하게 해친다"며 "단순히 병원에서 일정 기간 연수했다고 진료지원 업무를 맡기면 제도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다"고 했다.
정부를 향해서는 "특정 단체 이해에 편승해 책임을 회피하지 말라"고 했다. 종합병원협회는 단지 의사 인력 부족을 해결하고자 정부를 지지할 뿐이고, 전담간호사를 "값싼 대체자로 격하시키려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국민과 간호계를 외면하고 비공식적인 조정에 몰두하는 무책임한 태도를 유지하면, 그에 따른 혼란과 피해 책임은 정부에게 돌아간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