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이재명 정부, 한의사 의료기기 활용 정책 고려해야”
"기울어진 운동장 바로 세워지길 기대"
한의계가 이재명 대통령 취임을 환영하며 한의사들이 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에 반영해 달라고 했다. 한의사 주치의제 도입 등 의료·돌봄 영역에서의 한의사 역할 확대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달라고도 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4일 입장문을 내고 “이 대통령 취임을 축하드린다”며 “한의약의 무한한 가치와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건의료정책에 반영하려는 이 대통령이 취임한 만큼 국민이 한의 의료서비스를 차별 없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계의 기울어진 운동장이 바로 세워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의협은 이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한의사 주치의제 도입 ▲재활·한방 등 특화된 진료과목에 대한 재택진료 서비스 다양화 추진 등을 제시했다며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생각하고 빠른 시일 내 현실화해 줄 것을 희망한다”고 했다.
한의협은 지난달 22일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사회 돌봄 강화를 위한 정책협약'을 체결했다.
또 이 대통령이 지난 2022년 대선 당시 페이스북을 통해 “실손보험에서 한의과 비급여 보장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고 합리적인 한의 비급여 진료의 실손보험 보장 방안 마련으로 국민들에게 의료 선택권이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힌 적 있다며 한의 비급여에 대한 실손보험 보장을 언급한 사실도 재확인했다.
한의협은 “한의사들은 이 대통령이 임기 중에도 국민의 진료 선택권 보장과 편의성 향상을 위한 한의사의 의료기기 활용과 국·공립 의료기관 내 한의과 설치, 한의 비급여 실손보험 보장과 같은 국민 편익을 증진하고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보건의료정책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달라”고 말했다.
한의협은 “한의사들은 현재 붕괴 직전인 일차의료 살리기에 한의약이 중차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강력히 희망한다”면서 “향후 연구와 진료 현장에서 이 대통령의 실용주의에 입각한 보건의약정책에 발맞춰 의료인으로서 소명을 완수해 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한의약으로 국민 건강을 돌보는 ‘진짜 대한민국’을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