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복귀 의대생 ‘제적’ 거론에 교수들 “교육자 맞나” 성토

전의교협, 의대 학장들에게 공개 서신 “압박·회유로는 의학교육 정상화 안돼”

2025-03-17     김은영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정부의 '의대생 전원 복귀' 요구에 의대 학장들이 미복귀 의대생들에게 '제적'을 거론하자 비판을 쏟아냈다. 사진은 지난해 10월 한국의학교육평가원 무력화 시도를 멈추고 의대 증원 문제를 재논의하라고 요구히며 거리로 나선 의대 교수들의 모습이다(ⓒ청년의사).

의대 교수들이 미복귀 학생을 제적하겠다고 한 학장들을 강하게 비판했다. 압박과 회유로 의학교육을 정상화할 수 없다는 비판이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17일 ‘의대 학장들께 드리는 글’을 통해 “1년 이상 전공의가 사라진 진료 현장과 텅 빈 강의실을 바라보면서 안타까움과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의교협은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에 국한해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한 교육부와 제적 가능성을 거론한 의대 학장들을 향해 “교육자로서 올바른 자세라고 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전의교협은 의대 학장들에게 “제적을 거론하기 전에 휴학을 신청한 개별 학생들과 충분한 대화를 해봤는가. 압박과 회유를 통해 의학교육 정상화는 이뤄질 수 없다”며 “교수들은 원칙과 상식 내에서 최대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했다.

또 정부를 향해 “선결조건을 내세우지 말고 즉시 의대 증원, 의료 정책 오류를 바로잡아야 한다”면서 “정부는 의정사태 책임을 통감하고 조건부 강압적 지침이 아니라 사태 해결을 위한 진솔한 사과와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전의교협은 무리한 의대 증원 정책의 피해자는 “전공의와 현 사태를 맞이해 누구보다 치열하게 고민하고 자신들의 희생을 감수하고 있는 학생들”이라며 당사자인 학생들의 뜻을 헤아려 “이 나라의 의학교육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책을 만들어갈 수 있길 바란다”고도 했다.

한편, 전의교협은 지난 15일 열린 정기총회에서 제15대 전의교협회장에 고려의대교수의회 조윤정 의장(고대안암병원 진단검사의학과)이 선출됐다고 밝혔다. 임기는 오는 4월부터 2027년 3월까지다. 조 신임 회장은 전의교협 대외협력부회장으로 활동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