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전공의 ‘다기관 협력수련체계 구축’ 본격 추진

시범사업 보조사업자로 ‘대한병원협회’ 지정…예산 11억원 투입

2025-02-24     곽성순 기자
정부가 '다기관 협력수련 시범사업' 보조사업자로 대한병원협회를 지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정부가 ‘다기관 협력수련 시범사업’ 보조사업자로 대한병원협회를 지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다기관 협력수련 시범사업 보조사업자로 병협을 지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방안 중 하나로 추진되는 시범사업은 전공의가 다양한 임상 현장과 지역의료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기관 협력수련 모형 구축을 추진하는 사업으로, 올해 관련 예산 11억원이 편성됐다.

정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진료협력체계와 연계해 지역과 공공의료 등을 경험할 수 있는 수련네트워크를 구성,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이 수련 책임기관이 돼 5개 내외의 수련 협력기관과 함께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협력병원은 종합병원 이하 의료기관으로 전문병원과 지방의료원 등이 포함된다.

특히 전공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대상과목인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8개과 중 3개는 필수 포함돼야 하며, 협력수련 기간은 회당 6개월 이내여야 한다.

정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참여 네트워크 중 선도형 네트워크 선발과 네트워크당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시범사업 참여병원의 전공의 파견수당 ▲지도전문의 수당 ▲파견수련 운영비 등을 지원한다.

한편 정부가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 구축을 본격 추진하며 의료계 내 반발이 예상된다. 지난해 8월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인력전문위원회가 개최한 ‘전공의 수련 내실화 방안’ 토론회에서도 협력 수련체계 구축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당시 참석자들 중 소청과, 산부인과 교수들은 ‘출산율과 소아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 소아 자체가 없는 상황에서 다기관 협력수련체계 구축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현 수련체계도 제대로 가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다기관 협력수련체계 구축을 추진하는 것은 시기상조로 대학병원 수련시스템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반면 다기관 협력수련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측에서는 ‘모자수련을 통해 전공의 다양한 환자를 경험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 모범적으로 운영되는 곳이 이미 많다’, ‘수련 시 발생하는 급여 지급, 사건사고 등의 문제를 해결하면 전공의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사직 전공의들이 대부분 복귀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공의 수련체계 개편을 추진하는 것 자체가 의미없다는 의견도 강하다.

지방 대학병원 한 관계자는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사직 전공의 대부분이 복귀하지 않았고 올해 복귀도 요원한 상황에서 다기관 협력을 논의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라며 “수련환경 개선보다 떠난 전공의들을 병원으로 복귀시키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