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학년도 의대 정원 해결이 '전공의 복귀 조치'…정부 딴짓 말라"
전공의 추가 모집 기간 이틀 연장에도 지원 '저조' 전공의들 "전공의 복귀 핵심 아닌데 政 현실 회피"
특례도 기간 연장도 전공의 마음을 돌리지 못했다. 전공의는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문제를 직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제쳐둔 '전공의 복귀' 논의는 현실 회피에 불과하다고 했다.
19일 2025학년도 상반기 전공의(레지던트) 추가 모집이 마감됐지만 대부분 수련병원이 지원자를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 대형 수련병원인 '빅5'도 지원자가 10명 안팎으로 전해졌다. 입영·수련특례가 전공의 복귀로 이어질 거라며 이틀 더 기다린 정부는 "완벽한 오판"을 한 셈이다(관련 기사: "이틀 늘린다고 뭐가 바뀌나…이제라도 '원점 재검토' 결단해야").
전공의들은 정부가 지난해 2월의 '오판'도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빅5' 대학병원 사직 전공의 A씨는 이날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자꾸 전공의 복귀가 핵심인 것처럼 다루는데 진짜 핵심은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이라고 지적했다. 충청권 수련병원 사직 전공의 B씨도 "정원 문제를 빼고 전공의 복귀만 거론하는 건 본질 흐리기"라고 했다.
정부 특례가 미친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봤다. B씨는 "군 문제는 사직 초반부터 다들 예상했다. 군 특례를 은혜 베풀기로 꺼내는 게 어이없다"고 했다. 수도권 수련병원을 사직한 C씨는 "개인적으로는 가능한 빨리 입대하고 싶다"면서 "정부가 지난 1년 내내 회피만 하다 보니 이젠 상황 파악이 아예 안 되는 것 같다"고 했다.
전공의들은 의대 정원 문제 해결책을 요구했다. A씨는 "그게 곧 전공의 복귀 조치"라고 했다. 전남권 대학병원 사직 전공의 D씨는 "우리는 처음부터 답을 줬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원점 재검토'다. 나머지는 현실 회피"라고 했다.
D씨는 "전공의는 '7대 요구안' 수용을, 대한의사협회는 최근 (2025학년도 교육을 그대로 진행할 경우) 7,500명 교육을 어떻게 할 건지 정부 계획을 요구했다. 우린 답도 주고 길도 보여줬다. 정부도 '딴짓' 그만하고 본질을 봐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