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늘린다고 뭐가 바뀌나…이제라도 '원점 재검토' 결단해야"
전공의 모집 기간 이틀 연장 결정에 현장은 회의적 "상황 그대론데 지원자 있겠나…정부 완벽한 오판" "이제라도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해야"
이틀 더 전공의를 기다리겠다는 정부에 수련 현장이 한숨을 내쉬었다. 이틀이 아니라 "일주일을 더 기다린들 똑같다"고 보기 때문이다. 교수들은 정부가 더 이상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외면해선 안 된다고 했다.
지난 17일 보건복지부는 이날 오후 마감 예정이던 2025년도 상반기 전공의(레지던트) 추가 모집 기간을 19일로 이틀 연장했다. 수련병원 대부분이 지원자를 찾지 못하자 기간을 늘린 것이다.
마감 직전 나온 연장 결정에 정부 방침을 제대로 전달받지 못한 일부 수련병원은 모집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지역과 전문과를 불문하고 지원자는 거의 없었다. 권역 내 지원자가 총 1명에 그친 지역도 있었다. 서울 대형 수련병원인 '빅5'도 지원자가 10명 안팎으로 전해졌다.
현장은 추가 지원자를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빅5 병원 A 교수는 이날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이틀 연장한다고 (모집 결과가) 크게 달라질 것 같지 않다"고 했다. "처음 전공의가 사직하고 나갔을 때나 지금이나 상황이 비슷"하다는 이유다. 지역 사립대병원 B 교수도 "이대로면 이틀을 연장한들 일주일을 연장한들 똑같다"고 했다. 지역 국립대병원 C 교수는 "지원 현황을 확인조차 안 했다. 없을 게 뻔하다.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정부가 입영·수련특례를 들어 전공의 복귀 분위기를 거론했지만 "실제는 완전히 반대였다"면서 "완벽한 오판"이라고 했다.
정부가 전공의 모집 기간을 연장하면서 "실패를 자인한 셈"이란 평가도 나온다. 또 다른 빅5 병원 D 교수는 "정부가 특례도 소용없었다며 백기를 내건 거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리고 이는 곧 "전공의들에게 현재 방향이 '옳다'는 확신을 주고 단일대오를 유지하고자 결속을 다지는 명분이 됐다"고 했다.
교수들은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원점 재검토'에 준하는 정부 결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B 교수는 "정부가 (2025학년도 정원) 원점 재논의하겠다고 결단해야 한다. 말로만 하지 말고 문서화해 못 박아야 한다"고 했다. A 교수는 "상식적인 해결책 없이 무조건 돌아오라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정부는 근본적인 문제를 덮어두지 말라"고 지적했다. C 교수는 "(2025학년도 입시 마무리로) '이젠 늦었다', '안 된다'고 하지 말고 이제라도 잘못된 매듭을 풀어야 한다"며 "더 늦기 전에 결자해지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