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성분명 처방, 복지부 논의 시작하면 협조할 것"
서영석 의원, 국감서 INN, 성분명 처방 도입 필요성 피력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의약품 품귀현상으로 국민들이 '약국 뺑뺑이'를 도는 일이 없도록 국제일반명(INN)과 성분명 처방이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영석(경기 부천시갑)은 이 자리에서 의약품 수급 대란을 방지하기 위해 INN 도입, 성분명 처방 등 제네릭 대체조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서 의원은 “202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를 보면, 국민의 59.6%는 제네릭과 오리지널 품질 차이가 있을 것 생각하지만, 의사가 제네릭을 처방해 주면 복용할 의향이 있다고 81.4%가 동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제네릭과 오리지널 의약품이 거의 동등하다고는 것에 대한 인식이 낮아서 오는 문제”라며 “식약처도 성분명 처방을 권고한 적이 있지 않냐"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오유경 식약처장은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처이기 때문에 복지부가 주도하는 경우 협조하겠다는 취지로 이야기한 적이 있다"며 "생물학적동등성 시험을 진행하면 의약품의 효과가 동등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복지부가 성분명 처방 논의를 시작하면 식약처가 협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서 의원은 수급불 안정 보고 시스템이 복지부와 식약처로 이원화돼 있어 협조가 유기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서 의원은 “수급 불안정 의약품에 대해 복지부, 식약처가 각각 보고 시스템을 갖고 있어 통합적으로 관리가 안 되고 있다. 부처 간 칸막이로 인해서 수급 불안정이 더 가속화되는 것 아닌가”라며 대책을 요구했다.
이에 오 처장은 "식약처는 제약업체로부터 공급부족을 보고받고 있고, 복지부는 약국과 병원 등에서 보고받고 있어 서로 다르다"며 “약품 대란의 원인은 여러가지다. 수급 불완전 민관협의체에서 이들 요인에 대해 지금 심도 깊게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