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정'이냐 '여야의'냐가 문제인가…醫 "정부 바뀌어야"
의협, 여야의정협의체 출범 지체에 "형식·시기는 無의미" 지적 "합의 지켜지느냐가 문제…상황 해결 가능하면 '여야의'라도 참여"
여야의정협의체 구성이 지지부진하면서 '무용론'까지 고개를 들자 대한의사협회는 "정부 태도 변화"가 핵심이라면서 "대화의 시기나 형식"을 논할 때가 아니라고 했다.
의협 채동영 홍보이사 겸 부대변인은 24일 브리핑에서 여야의정협의체나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했던 여야의협의체 참여를 두고 "정부가 약속을 지키리라는 확신이 없는데 협의체의 형태나 출범 시기를 논하는 건 의미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채 부대변인은 "의료계가 여야의정협의체에 들어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부가 그간 (의료계와 했던) 수많은 합의를 하나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회원은 (의협이)협의체에 들어가도 정상적인 협상이 이뤄질 수 없다고 여긴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빠진 여야의협의체 역시 "참여가 정부를 압박해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된다면 당연히 들어갈 것이다. 그러나 (여야의협의체에 참여하더라도) 어차피 지켜지지 않을 약속을 하거나 이뤄지지 않을 결과만 나온다면 결국 이용만 당하는 꼴이 될 거라는 인식이 의료계에 팽배하다"고 했다.
채 부대변인은 "사실 어떤 협의체나 대책도 이미 늦었다. 의료대란은 현실이 됐고 앞으로 영구한 상처로 남을 수 있다"면서 "시기나 형태의 문제를 논하기보다는 (여야의정의이) 합의한 약속은 지켜질 것이라고 현장이 신뢰할 수 있는 환경부터 조성돼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 태도 변화가 당장 이뤄지지 않으리라는 사실은 국민 모두 안다"며 "다만 여야의 입장은 많이 바뀌었다. 국민과 정치권을 조금씩 설득해 정부의 주장은 정부 외 누구도 공감하지 않는다는 것을 (정부가) 깨닫는다면 그때 정부도 입장의 변화가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