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협 ‘여야의정협의체’ 불참…“의협·대전협 궤 같이”

대학병원들도 병협 중심 단일대오 유지 결정 상급종합병원협의회 "전공의 불참 의미 없어" “무조건 불참 아냐…정부 협상안 따라 고려”

2024-09-21     김은영 기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제시한 여야의정협의체 출범이 안개속이다. 병원계는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 등 의사단체와 궤를 같이 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불참 결정을 내렸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에 이어 대한병원협회도 사실상 여야의정협의체 ‘불참’ 결정을 내리면서 여야의정협의체 출범은 점점 더 멀어지는 모양새다. 병협은 의협과 대한전공의협의회 등 의사단체와 궤를 맞춰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국민의힘으로부터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요청’을 받은 대학병원들의 개별적인 참여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대학병원은 병협을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병협 관계자는 지난 20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는 의협과 대전협 등 의사단체와 함께 보조를 맞춰 나갈 예정”이라며 “병협만 별도로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의정 갈등을 해결하는) 열쇠는 의협과 대전협이 쥐고 있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병협 단독으로 움직일 경우 정치적 이용만 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누군가 나서서 이득을 보겠다며 소탐대실할 의사단체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여야의정협의체에 무조건적인 불참 입장은 아니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제시하는 협상안을 토대로 추후 참여는 고려해보겠다는 것이다.

병협은 “여야의정협의체에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향후 대통령실 입장 등 변화하는 상황을 우선적으로 지켜 볼 예정”이라며 “먼저 정부에서 의정 간 갈등을 줄일 수 있는 협상안을 명확하게 도출해 소통하고 공감하는 방안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상급종합병원협의회 관계자도 “용산 분위기가 너무 경직돼 있다. 고집불통 자세로는 대화는 어렵다는 판단”이라며 “더욱이 전공의들이 참여하지 않겠다는데 병원들이 참여해봐야 무슨 의미인가. (대통령실) 전향적인 자세 변화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의정 갈등 상황이 길어지면서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두고 의사단체들도 고민을 거듭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전공의들의 참여 결정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지난 19일 열린 정기회의에서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여부를 안건으로 논의했으나, 참여하기 힘들다는 결론을 내렸다.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은 오는 23일 국민의힘과 비공식 미팅을 가질 예정이지만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자리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향후 상황을 지켜볼 방침이다.

전의비 최창민 회장은 “대통령실에서 2025학년도 정원을 비롯해 다른 태도 변화가 없어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