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여야의정협의체 거부…"대전협·의대협은 개별 판단"
8개 단체 "정부 태도 변화 없는 대화 시기상조" "의대생·전공의와 정보 공유, 더 이상 언급 않겠다"
의료계가 추석 전 여야의정협의체 구성을 사실상 거부했다. 다만 병원계와 의대생·전공의 뜻까지 모으지는 못했다.
대한의사협회는 13일 용산 회관에서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관련 의료계 입장을 밝혔다. 의협 대의원회와 대한의학회·대한개원의협의회·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경기도의사회 제외)가 이름을 올렸다. 교수단체인 전국의대교수협의회(전의교협)과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물론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도 함께했다.
의료계는 대화를 원한다면 정부가 "전공의 사직 관련 수사를 중단"하라고 했다. 여야의 의지와 관계없이 "정부가 잘못된 정책을 인정하지 않으면 이 사태는 해결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정부의 태도 변화 없는 현시점에서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는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의협 최안나 총무이사 겸 대변인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전날(12일) 대정부질문에서 의료대란은 "전공의 때문"이며 야당이 언급한 국민 피해는 "가짜뉴스"라고 반박한 점을 들어 "정부는 지금 무리한 정책으로 일어난 사태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다. 이런 상태에서 우리가 대화하러 협의체에 참여하기는 어렵다"고 분명히 했다.
의료계 '일부 단체'라도 우선 참여해 협의체를 구성하자는 정치권 주장에는 "의협이 14만 의사 개개인을 대표하는 유일한 법정 단체다. 오늘 입장문은 전공의 수련과 학생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 단체와 협의해서 나왔다"며 "(정부와 의료계가) 협의한다면 그 중심이 될 수 있는 단체는 모두 모여 단일한 입장을 낸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날 발표에서 빠진 대한병원협회의 경우 "사용자단체라 의협이 대표하지 않는다"며 "입장이 (의료계와) 다른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대한전공의협의회와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 대해서도 "정보를 계속 공유하고 있다"면서도 "전공의와 의대생의 개별적인 판단에 대해 의협이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의대 정원 문제는 물론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포함해 의료 제도 대응은 "교수 단체를 중심으로 하고 의사 (각 직역을) 대표하는 의협이 함께 중지를 모아나가겠다"고 했다.